[초이스경제 김슬기 기자] '문화가 있는 날'은 국가적으로 영화관을 비롯한 공연장, 미술관, 박물관 등 전국의 다양한 문화시설의 문턱을 낮춰 국민이 보다 쉽게 문화생활을 누릴 수 있도록 만든 제도다. 그러나 시행 10개월이 지났음에도 여전히 정착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일 새누리당 이상일 의원에 따르면 지난 1월 29일부터 첫 시행 중인 '문화가 있는 날'에는 국내 주요문화시설 최대 1300여곳이 참여하고 있지만 정작 이에 대해 '들어본 적도 없다'고 답한 성인남녀가 63.7%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문화의 날'은 매달 마지막 수요일로, 누구나 전국의 주요 문화시설을 할인 또는 무료로 즐길 수 있다. 이처럼 좋은 취지의 제도에도 국민적 인식이 낮은 이유에 대해 이상일 의원은 "먼저 문화체육관광부 내 산하 공공기관 참여기관 12곳 중 관련 홍보와 행사를 갖고 있는 기관이 국립현대미술관, 국립중앙박물관 등 6곳에 그치는 등 참여율이 부진하기 때문이다"고 밝혔다.

국립극장의 경우 8월 '문화의 날' 행사가 없었지만 관계자는 행사가 왜 준비되지 않았는지조차 몰랐으며 정기적인 행사기획이나 공연 할인혜택이 부실했다.

예술의 전당의 경우 전시는 사전예매가 아닌 당일 현장(18시 이후)에서만 할인된 가격으로 판매하고 있었으며 유명한 전시는 입장대기 순서에 따라 한도를 정해 할인하고 있었다. 또한 모든 공연이 아닌 참여제작사 여부에 따라 일부 공연만 입장료 할인이 적용되고 있었다.

정동극장의 경우 좌석등급에 따라 할인을 제한하는가 하면 인터넷 회원가입자에 한해서만 할인혜택을 제공했다. 아르코극장 역시 좌석등급별로 할인매수를 정해 제한 판매하는가 하면 할인 여부도 공연제작사의 참여여부에 따라 달랐다.

관련 홍보도 부족했다. 세종문화회관이나 충무아트홀 등은 '문화가 있는 날' 공연에 대한 홍보 안내문이 없었으며 엘지아트센터나 블루스퀘어 같은 공연장의 경우도 관련 혜택이 없었다.

또한 17개 광역자치단체의 문화포털사이트를 확인한 결과, '문화가 있는 날' 메인 홈페이지에서 공지란을 통해 홍보하거나 안내하는 자치단체는 8곳(부산, 인천, 대전, 세종, 울산, 경기도, 경삭북도, 제주도)이었지만 문화의 날 행사목적을 갖고 홈페이지를 방문한 사람만 확인이 가능했고 나머지 9곳은 공지란에서도 관련 내용을 찾아볼 수 없었다.

한편 국내 멀티플렉스 영화관의 경우 '문화가 있는 날' 당일 영화 관객 점유율이 평일인 목요일보다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중 CGV의 경우 3D나 4D 등 특별관에 대해서는 할인이 제외되며 오후 6~8시 2D영화에 한해 할인을 제공하고 있었다.

야구장의 경우 외야 자유석에 대해서만 할인받을 수 있었으며 혜택기회도 1년에 2번 정도에 그쳤다.

이에대해 이상일 의원은 "문화부 산하 12개 공공기관은 물론 서울시 산하 공연장이나 지자체 협력이 부족해 '문화가 있는 날' 시행 취지가 무색해졌다"면서 "향후 관련기관의 적극적인 동참을 유도하고 대대적인 홍보를 통해 진정한 문화의 날로 자리잡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초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