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당 국민소득은 3년 연속 2만 달러를 넘어섰다. 그러나 총저축률은 30.9%로 낮아졌다. 

 
지난해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는 민간소비 둔화와 건설·설비 투자 부진으로 전년대비 2.0% 성장에 그쳤다. 
 
2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2년 국민계정(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국민총소득(GNI)는 2만2708달러로 집계됐다. 1년 전(2만2451달러)보다 257달러 증가한 수치다. 
 
1인당 GNI는 2007년 처음으로 2만 달러를 넘어섰지만,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로 2008년(1만9161달러)과 2009년(1만7041달러) 2년 연속 떨어졌다가 2010년(2만562달러) 다시 2만 달러대로 회복했다. 3년째 2만 달러대를 상회한 것이다. 
 
지난해 명목GDP가 전년대비 3.0% 늘어난 결과다. 
 
물가 등을 고려한 국민소득의 실질 구매력을 보여주는 실질 GNI는 전년보다 2.6% 증가했다. 
 
한은 관계자는 "실질국외순수취요소소득이 증가한데다 교역조건(86.8→87.1) 개선으로 실질무역손실규모가 1년 전보다 감소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물가 수준을 나타내는 GDP 디플레이터 상승률은 전년(1.5%)보다 0.5%포인트 낮은 1.0%를 기록했다. 이는 명목 GDP를 실질 GDP로 나눈 값으로, 
 
국민들이 임의로 처분할 수 있는 소득을 뜻하는 국민총처분가능소득(명목기준)은 1276조4000억원으로 1년 전보다 3.3% 늘었다. 노동의 댓가로 가계에 분배되는 급여(피용자보수)는 4.1%, 영업잉여는 2.2% 각각 증가했다.
 
국민총처분가능소득 중 69.1%인 882조2000억원(민간 680조8000억원, 정부 201조5000억원)이 소비로 지출됐다. 나머지 30.9%인 394조2000억원은 저축으로 남아 투자재원으로 활용됐다. 
 
1인당 개인총처분가능소득(PGDI)는 1만3150달러로 전년(1만2906달러)보다 244달러 늘었다. 
 
노동소득분배율은 59.7%로 전년(59.5%)보다 0.2%포인트 상승했다.
 
지난해 실질 GDP 성장률은 2.0%였다. 수출 증가세가 이어졌음에도 민간소비가 둔화되고 건설투자와 설비투자가 부진한 탓에 전년의 성장률(3.7%)을 크게 밑돌았다. 
 
분기별로는 지난해 1분기 성장률이 전기대비 0.8%였으나 2분기와 3분기에 각각 0.3%, 0.0%로 낮아졌다가 4분기 0.3%로 상승했다. 
 
산업별로는 정보통신업이 영화 제작과 상영 호조로 전년대비 4.2% 성장했고, 금융·보험업과 전기가스·수도사업이 각각 3.6%, 2.8% 증가해 전체 성장률을 지지했다. 건설업(-4.3%→-1.6%)과 농림어업(-2.1%→-0.6%)은 전년보다 낙폭이 줄어들었다. 
 
반면 제조업의 성장률은 전년의 7.3%에서 2.2%로 낮아졌다. 광공업도 7.2%에서 2.2% 성장하는데 그쳤다. 운수·보관업은 수출입 둔화로 인한 화물운송업의 부진으로 전년(3.9%)에 비해 낮은 1.3% 증가했다. 
 
최종소비지출은 전년(2.3%)보다 소폭 낮아진 2.2%를 기록했다. 
 
민간소비의 경우 준내구재가 0.3% 감소하고 비내구재(1.1%)와 서비스(2.0%)에 대한 지출 증가세가 낮게 나타난 탓에 전년대비 1.7% 증가하는데 만족해야 했다. 정부소비는 물건비와 건강보험급여 등에 대한 지출 확대로 3.9% 불어났다. 
 
건설투자는 -2.2%로 전년(-4.7%)보다는 나아졌지만, 설비투자는 전년의 3.6%에서 -1.9%로 떨어졌다. 
 
지난해 총저축률은 30.9%로, 전년(31.6%)보다 0.7%포인트 낮아졌다. 최종소비지출 증가율이 4.4%로 국민총처분가능소득 상승률(3.3%)보다 높게 나타난 영향이다. 국내 총투자율은 설비투자 부진 여파로 2.0%포인트 하락한 27.5%로 집계됐다. 
 
민간부문의 총저축률은 23.4%로 전년(23.9%)에 비해 0.5%포인트 떨어졌고, 정부부문도 전년(7.7%)보다 0.3%포인트 하락한 7.4%를 기록했다. 
 
가계 순저축률은 3.4%로 전년(3.1%)보다 0.3%포인트 상승했다. 가계 순저축은 26조8000억원으로 1년 전보다 2조8000억원 늘었다. /뉴시스
저작권자 © 초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