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가 상품·바가지 요금 등 폐해로 재방문 의사 감소 추세

[초이스경제 김슬기 기자] 한국을 찾는 외국인이 늘면서 지난해 외래 관광객 1400만 명을 돌파하는 등 한국 관광 외형이 급성장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이상일 의원(새누리당 용인 을 당협위원장)이 관광대국으로 한걸음 더 성장하기 위한 개선사항을 지적했다.

10일 이상일 의원실에 따르면 한국 관광산업이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00년 6.6%에서 2011년 5.6%로 줄었고, 이후 작년까지 5.8%를 유지하고 있다. 외래 관광객은 증가 추세에 있으나 고용창출 및 경제파급 효과는 미흡하다는 평이 나온다. 2014년 관광산업의 GDP 비중은 세계 평균이 9.6%이고 이탈리아 10.4%, 프랑스 9.6%, 미국 8.4%, 중국 9.3% 수준이다.

숙박·운수·여행 등 관광사업 인력의 총고용 비중도 2000년 6.7%에서 2011년 6.0%로 감소했으며, 이후 작년까지 6.3%를 유지하고 있다. 세계평균 9.0%, 이탈리아(11.8%)·영국(12.3%)·중국(8.5%)·일본(7.1%) 등 주요국에 비해 현저히 낮다.

2011년 부터 2015년 6월까지 외래 관광객 1인당 소비금액 연평균 증가율은 0.29%로 2012년 –4.9%로 낮아진 이후 올해는 6월까지 –1.9%에 그쳤다. 외국인 관광객의 평균 체류기간도 2011년 7.5일에서 2014년 6.1일로 감소하는 추세다.

그런가하면 2015년 세계경제포럼(WEF)이 평가한 한국의 관광산업 경쟁력은 조사대상 141개국 중 29위로 2013년 25위에서 4계단 하락했다. 특히 가격 경쟁력 109위, 자연 자원 107위, 환경지속성 90위 등이 취약한 것으로 평가됐다.

이상일 의원은 "저가 상품의 경우 한국 관광의 이미지 추락으로 직결된다는 점에서 폐해가 심각하다. 외국인 관광객을 유치하는 여행업체들의 과당경쟁으로 원가에 못 미치는 상품을 판매한 후 저급한 식사를 제공하고 쇼핑을 강요해 이익을 챙기는 악습이 이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쇼핑 강요와 저질 식사에 대한 중국 여행객들의 불만이 이어질 수밖에 없는 구조다. 이 같은 저가 상품은 낮은 수익성의 주요 원인이고, 다시 한국을 찾지 않는 결과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하루빨리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2013년 10월 관광경찰대 출범 이후 7월까지 총 5342건의 관광 불법행위가 단속된 것으로 집계됐다. 불법 관광행위로는 관광버스 1142건(21.3%), 가격 미표시 921건(17.2%), 무자격 가이드 707건(13.2%), 콜밴 등 택시 589건(11.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호객행위 174건(3.2%), 자격증 미패용도 382건(7.2%)에 달했으며 이같은 폐해로 인해 2012년 41.8%였던 재방문률은 2014년 34.9%까지 떨어진졌다.

시장 다양성도 우려되고 있다. 지난해 중국 관광객은 612만7000명으로 전체 관광객의 43.1%, 일본 관광객은 16.1%로 두 국가의 관광객이 전체의 60%를 차지한다. 특히 중국 관광객의 증가율이 2011년 18.4%에서 2015년 7월 44.6%로 급증하면서 중국의 비중이 곧 50%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상일 의원은 "이같이 중·일 편중 현상이 심화되면 두 나라와 한국 간 외교갈등이 빚어지거나 두 나라의 경제사정이 악화될 때 한국의 관광시장이 휘청거릴 수밖에 없다. 이를 감안한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관광산업 선진국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의료관광, 크루즈 광광, 웨딩 관광 등 고품격·고부가가치 여행상품 개발이 필수다. ‘값싼 여행’ 수요가 있는 만큼 저가 상품을 근절할 수는 없지만, 중·고가 상품을 만들어 소비자의 선택 폭을 넓혀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 집중화 현상도 개선사항으로 지적됐다. 2014년 외래관광객의 80.4%가 서울을 여행 목적지로 삼았으며 이는 숙소 부족·관광지 혼잡 문제로 이어지고 있다. 일본의 경우 관광객들이 도쿄(60.3%·복수응답) 외에 오사카(26.1%), 교토(24.0%) 등으로 고르게 분산되는 것과 상반된다.

이상일 의원은 "재방문율을 높이는 것이야말로 한국 관광이 ‘외래 관광객 2000만명 시대’로 도약하는 관건이다"면서 "중국인을 포함한 외국인으니 한국 재방문율을 높이려면 바가지 요금·무자격 가이드 등 불편사항을 서둘러 근절하고, 실태조사를 거쳐 방문자 특성에 맞는 맞춤상품을 개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초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