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렉시트 후 미국 고용지표 끄떡 없어...한국은 미국의 금리인상 가능성 확대에 대비해야

▲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이사회 회의 모습. /사진=Fed 홈페이지 동영상 화면캡쳐.


[초이스경제 최미림 기자] 미국의 7월 비농업 부문 고용지표가 빅 서프라이즈를 나타내면서 한국의 부채관리 문제가 더욱 중요해졌다. 이에 대한 통화당국과 금융당국의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미국의 금리인상 가능성이 또다시 불거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미국 노동부가 지난 5일(현지시각) 발표한 7월 비농업부문 고용지표는 시장의 예상을 훨씬 뛰어 넘는 양호한 흐름을 연출했다. 7월 비농업부문 신규취업자 수가 자그마치 25만5000명에 달했다. 이는 로이터와 USA투데이 등이 예측한 18만명을 크게 웃도는 것이다. 미국에서는 월간 비농업부문 신규 취업자 수가 20만 명만 웃돌면 양호한 수치로 간주된다.

특히 이번 미국의 고용지표 서프라이즈는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결정 후의 수치를 처음 반영한 것이라는 점에서 더욱 주목받고 있다. 적어도 미국의 핵심 경제지표 중 하나인 고용지표가 브렉시트 영향을 거의 받지 않고 있음이 확인된 것이다.

이에 뉴욕 월가에서도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 연준)가 진짜 중시하는 지표는 7월 고용지표가 될 것이라고 입을 모아왔다. 7월 고용지표가 호전될 경우 9월 연준의 통화정책회의(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 인상 주장이 강화될 것이라는 게 월가 일각의 시각이었다.

특히 월스트리트저널은 “미국의 핵심 경제지표가 호전될 경우 9월 금리인상 가능성은 살아있다”는 입장을 견지해 왔었다. 그런데 브렉시트 후의 미국 고용지표가 크게 호전 돼 미국 연준의 9월 통화정책회의가 커다란 관심을 끌 전망이다.

게다가 지난주에도 찰스 에반스 시카고 연방은행 총재 등이 “올해 1번 정도의 금리인상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계속 피력한 바 있어 7월 비농업부문 고용지표의 중요성은 더욱 부갈될 수 있는 상황이다.

문제는 한국이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완전 물건너 간 것이 아니라면 한국도 서둘러 대비해야 한다. 미국이 연내 단 한차례라도 기준금리를 인상할 경우 한국에 미칠 파장은 만만치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잘 알려진 대로 돈은 금리가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흐르게 돼 있다. 따라서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 한국에 들어 와 있는 외국돈들이 빠져 나갈 수 있다. 또한 한국 통화 당국도 한국에서의 자본 유출을 막기 위해 금리를 다시 올려야 하는 상황이 언제든 올 수 있다.

그 경우 빚을 내 부동산 등에 과잉 투자한 한국경제가 큰 타격을 입을 수도 있다. 최근 부채관리를 제대로 못한 현 정부의 경제정책에도 중대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

최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들이 서울 등 일부 지역의 부동산 시장 과열에 따른 가계부채 증가에 우려를 나타낸 것이 현실적인 문제로 대두될 수도 있다.

한국은행이 지난 2일 공개한 금통위 의사록을 보면 금통위원들은 지난달 14일 기준금리를 연 1.25%에서 동결한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에서 한국의 부채 문제와 부동산 문제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출한 사실이 드러났다.

한국의 상황이 이정도라면 만일 글로벌 중앙은행들이 통화완화 정책을 중단하고 다시 긴축 모드(금리인상 모드)로 전환될 경우 한국은 부동산 발 금융시스템 위기를 맞을 수도 있다.

영국의 파이낸셜타임스(FT)가 지난 3일자(영국시각)에서 “지금 각국 중앙은행은 더 이상의 통화완화 정책을 이어나갈 실탄이 존재하지 않는다”면서 “만일 각국 중앙은행이 실탄 부족으로 통화정책을 통한 경기부양책을 멈추고 경기부양의 바통을 각국 정부에게 넘길 경우 각국 국채에 투자했던 사람들이 대규모 손실을 입을 수도 있다”고 밝힌 것은 예사로운 일이 아니다. FT가 “글로벌 주요 중앙은행 태도 변화를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한 것은 결코 가벼이 넘겨선 안될 사안이다.

특히 FT는 “과거 미국 월가에서 벤 버냉기 전 연준 의장이 양적완화 테이퍼링(양적완화 졸업)을 언급했을 당시 글로벌 시장은 커다란 충격을 받았다”면서 “앞으로 중앙은행들이 태도를 변경할 경우 제2 테이퍼링 쇼크가 오지말란 보장이 없다”고 강조했다.

그런데 지금 미국의 중앙은행 상황이 ‘태도 변화’ 가능성에 노출돼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것이 한국의 금융시스템 위기나 부동산 위기로 이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한국 정부도 부동산 시장 진정대책과 금리인상 피해 축소 대책, 금융시스템 보호 대책을 종합적으로 강화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한국의 금통위 위원들과 FT가 바로 이런 문제를 지적했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초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