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은 진정한 문화 전문가 동원해 제대로 된 문화정책 펼쳐야 할 때

▲ 거리예술 아티스트 오디션 /사진=뉴시스

 

[초이스경제 김용기 칼럼] 우리나라의 경제 성장률이 이제는 5%는 커녕 3%도 밑돌고 있다. 특히 예전의 성장을 이끌어오던 제조업은 몇 개 업종을 빼놓고는 예전의 활력을 찾기 힘들다고 한다.

문화와 관광 산업은 여기에 비하면 아직 많은 발전의 여지를 지니고 있다. 문화와 관광이 모든 성장을 이끌 수는 없다. 하지만 두 부문이 낮아지는 성장률을 상당히 받쳐줄 수는 있다.

예전에는 자녀가 예술가가 된다고 하면 부모가 말렸다. 특히 대중문화가 그랬다.

그러나 지금은 오히려 부모가 어린 자녀를 이끌고 대중문화인계로 입문시키고 있다. 대중문화뿐만 아니다. 문화 전반에 대한 국민의 인식이 달라졌다.

문화를 즐기려는 수요도 높아졌지만, 문화계에 뛰어들려는 인재도 많아졌다. 이런 토양을 잘 가꾸면 문화 산업을 통해 성장률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앞서 얘기한 한강에서의 이순신 같은 작품을 현실화해서 한국을 찾아오는 관광객들에게 “한국 가면 볼거리가 있다”는 인식을 심어줘야 한다. 이 파급 효과는 대단할 것이다.

그런데 정부의 정책이 문제다. 정확히 말하면 정책을 하는 사람들이 문제다.

문화산업이 제대로 뿌리를 내리려면 제대로 된 전문가들이 정책에 깊게 참여해야 한다. 물론 정책하는 자리에 가보면 전문가라는 사람들이 있긴 하다. 하지만 나는 이들 가운데 대다수를 전문가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정권마다 정권 탄생에 협조한 사람들이 전문가라고 앉아있는 것이다.

물론 진짜 전문가가 아주 없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극히 일부다.

나머지는 전부 정권과 관련 있는 사람들이다. 이런 사람들은 와서 하는 일은 진정한 문화정책이 아니다. 자기 사람 챙기는 데만 바쁘다.

문화계에서는 가끔 A의 파벌, B의 파벌이 있다는 얘기가 떠돈다. 모두 사라져야 한다.

이 사람들은 무슨 시상식 같은 것을 만들기도 한다. 하지만 가보면 그들만의 리그다. 다른 데서 찾아온 사람들에게는 상당히 기분이 나쁜 자리일 뿐이다.

당사자들은 이런 말을 들으면 최소한 정색을 하고 부정을 하는 게 그나마 도리일 텐데 그런 기본 도리조차 없다. 오히려 그런 말을 들으면 자기가 대부라고 자처하고 있다.

문화 관련 기관들을 이런 파벌들이 상당수 차지하고 있다.

문화계에서 힘을 가진 자들이 이 모양이니 일선에서 일하는 사람들도 멀쩡할 수 없다.

관련 기관에 가보면 일 안하는 사람 천지다.

새로운 일을 하기 싫어한다. 그러니 문화적 창의성을 가진 사람이 찾아오면 환영받을 수가 없는 것이다.

해야 할 일은 안하고 시키는 것만 하고 눈치만 본다. 자발적으로 하는 일이 있다면 높은 사람 의전이나 따지고 자기 권위 세우는 것이다.

문화계가 이 모양이니 성장률에 보탬이 되기는 커녕 혈세만 축내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끊이지 않는 것이다.

 

 

저작권자 © 초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