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성차 업체와 협력업체 간 상생 모색해야...현대-기아차 노사 협력 중요

[초이스경제 김완묵 기자] 온 국민이 추석(15일)을 앞두고 풍요로운 결실의 기대감에 들떠있지만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 협력업체 직원들은 올해도 썩 마음이 편하지는 않을 것 같다. 갈수록 커지는 완성차 업체 직원들과의 임금 격차는 말할 것도 없고 임금협상 이후에 부품 단가 하락 압력이 상당히 거세게 몰아치지나 않을까 하는 우려도 있기 때문이다.

특히 임금협상 결과 1800만 원을 얹어주기로 한 현대차 노사의 합의안이 부결돼 파업을 계속하고 분쟁을 이어가는 '귀족형(?) 노조'의 행태에 협력업체 직원들은 분노를 넘어 절망감을 갖는다는 말도 나온다.

현대차 노사는 지난달 경영층이 쟁점으로 있던 임금피크제를 철회하고 노조의 의견을 상당 부분 수용해 어렵사리 합의안을 마련, 찬반 투표에 부쳤지만 결국 전체 조합원 4만9665명 중 4만5777명(92.2%)이 참여해 반대 3만5727표(78%), 찬성 1만28표(21.9%)로 부결됐다.

눈에 띄는 것은 반대가 압도적으로 많은 80% 수준에 육박했다는 점이다. 경영층이 상당한 정도의 인센티브를 더 얹어주지 않으면 노조는 꿈쩍도 하지 않을 것이란 점을 어렵지 않게 짐작할 수 있다.

부결 원인은 임금인상 폭이 예년 협상과 비교해 작기 때문으로 알려진다. 지난해의 경우 임금인상을 포함해 2300만 원 가까운 일시금을 받았지만 올해는 그에 못 미쳤다는 목소리들이 나오면서 압도적인 부결에 이른 게 아니냐는 얘기도 들린다.

이에 현대차 노사는 추석을 앞두고 지난 7일 교섭을 재개했으나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추석 전 타결에 실패했다. 노사는 추석 연휴가 끝난 뒤 오는 20일께 다음 교섭을 재개한다는 방침으로 알려진다.

기아자동차 노사도 올해 임금단체협상에서 좀처럼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기는 마찬가지다. 그리고 간간이 파업을 벌여 그 피해가 커진 상태도 현대차와 비슷하다.

현대차만 해도 노조의 연이은 파업으로 차량 8만3600여 대를 생산하지 못해 1조8500억 원 규모의 매출 차질이 빚어진 것으로 회사는 추산하고 있다. 자동차 판매 실적도 큰 영향을 받고 있다.

현대차의 8월 국내 판매는 전년 동월(5만1098대) 대비 17.6% 감소한 4만2112대를 기록해 완성차 5개사 중 판매 감소폭이 가장 컸고 수출 역시 0.8% 감소했다. 기아차의 경우 해외 판매는 성장세를 보인 반면 국내 판매가 3만7403대를 기록하면서 전년 동월(4만1740대) 대비 10.4% 감소한 실적을 기록했다.

지난 6월까지 실시한 정부의 개별소비세 인하 혜택이 종료된 데 따른 영향도 있겠지만 그 감소폭이 너무 크다. 더 큰 문제는 주변 지역사회와 협력업체에 미치는 그 피해는 정도를 가늠할 수 없게 커질 수도 있다는 점이다.

업계에 따르면, 경북 경주지역 100여 개 현대차 2·3차 협력업체로 구성된 협의회는 현대차 임금협상과 노조의 파업으로 직원들에게 추석 상여금은 고사하고 급여도 제때 지급하기 힘든 사정이라고 호소하고 있다.

특히 현대차의 부결된 1인당 평균 1800만 원의 인상안은 이들 협력업체 직원 임금의 반년치 급여를 넘는 것이어서 '심대하고도 위험한 차별'이라고 주장했다. 협의회는 "2·3차 협력업체 직원들에게 매년 벌어지는 현대차 임금협상 결과는 피가 나는 상처에 소금을 뿌려대는 것처럼 쓰라리다"고 지적했다.

협의회는 특히 이들의 임금인상이 고스란히 협력업체의 부품 단가 하락 요청으로 이어져 협력업체의 상실감과 박탈감이 커져가고 있다고 호소한다.

항간에는 지난 9일 북한이 5차 핵실험을 하면서 국제사회의 끊임없는 제재와 우려에도 불구하고 그들만의 행동방식을 고집하는 모습과 지역사회와 여론의 끊임없는 질타와 우려에도 불구하고 그들만의 협상을 이어가고 있는 현대·기아차 노사의 모습이 '비교된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제 정부 여당은 물론 야당을 포함한 정치권도 현대차와 기아차 등 일부 귀족형(?) 노조에 대해서는 어떤 처방을 내려야 할지 고민을 해봐야 할 때가 온 것 같다. 야당을 중심으로 일고 있는 경제민주화라는 커다란 담론에 귀족형(?) 노조의 일방적 행태도 포함해 고민을 해볼 필요가 있어 보인다.

그렇지 않은 어느 일방의 민주화에 치우친 논쟁은 그 효과가 떨어지는 것은 물론 자칫 혼선만 가져와 그 폐해에 따른 부작용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아울러 자동차 산업을 지역의 핵심 산업으로 키우려는 지자체들도 관련 기업을 유치하기 위한 더 많은 고민이 필요할 것 같다.

적어도 노사분쟁에서 자유로운 '생산구역'을 만들어주지 않고서는 그 성과를 기대하기 힘들 것이기 때문이다.

정부와 지자체가 많은 인센티브를 주고 자금지원을 해준다고 해도 국내 완성차 업체의 일부 지역 공장처럼 매년 노사분쟁이 이어지고 임금인상이 관행처럼 굳어질 것이 뻔하다면 어떤 경영자도 선뜻 그 곳에 투자를 결정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초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