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내 투자확대 메시지로 해석해야...보복관세 땐 미국 경제에도 타격

[초이스경제 이영란 기자] 트럼프가 대통령에 취임한 이후 미국이 보호무역을 강화하면서 미-중 마찰이 심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는 가운데 미국의 보호무역 정책 현실화에는 걸림돌이 많을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됐다.

3일 흥국증권은 자료에서 “미국이 중국에 대한 보복관세를 현실화할 경우 중국에 대한 수출의존도가 높은 국내수출에도 부담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며 “그러나 이같은 보호무역이 현실화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그 이유는 우선, 무역은 국가간 거래인 G2G보다는 기업간의 거래인 B2B가 일반적이라는 점이다. 중국이 미국에 대한 무역수지 흑자가 높은 이유는 중국제품이 높은 경쟁력을 보유해서라기보다는 미국기업이 중국 공장에서 역수입하기 때문이다.

김성노 연구원은 “애플의 사례처럼 트럼프는 자국 기업들이 싼 인건비를 매개로 해외에 투자하기보다는 미국 내에서의 투자를 확대해 고용창출에 기여해 달라는 메시지일 가능성이 높다”고 해석한다.

또한, 보복관세가 현실화되면 미국 경제도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보복관세로 수입제품 가격이 상승하면 기업은 이를 소비자가격에 전가시키게 된다. 자연히 수입물가 상승에 따라 소비자물가 상승이 이어지게 되는 것이다.

일시적으로 빠른 소비자물가 상승은 소비를 위축시키는 역할을 한다. 미국경제는 소비가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70%에 달하는 만큼 소비위축은 곧바로 경제성장률 둔화 및 고용부진을 초래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보복관세 등 보호무역은 물가상승과 소비둔화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글로벌 물동량도 감소시키게 되므로 현실화 가능성은 그만큼 낮다는 분석이다.

 

 

저작권자 © 초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