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과급 활성화하고 협력사와 성과 나누는 시스템으로 정착되길

[초이스경제 김완묵 기자] 현대차그룹이 최근 과장급 이상 간부 직원들에 대해 올해 임금을 동결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현대차그룹 51개 계열사 과장, 차장, 부장 등 간부급 3만5000여 명이 해당된다고 한다. 현대차가 지난 2006년에 과장 이상 간부급 직원, 2009년에 전 직원에 대해 임금동결을 한 적이 있지만 이번에 그룹 전체 간부급을 대상으로 임금을 동결한다니 그 배경이 엄중해 보인다.

특히 2009년에는 현대차가 노사 협상을 통해 임금을 동결한 적이 있어 올해 현대차그룹 노사가 합의를 통해 임금동결에 나설 수 있을지 관심을 모은다. 앞서 지난해 10월에는 현대차그룹 임원 1000여 명이 경영 위기를 감안해 급여 10%를 자진 삭감한 바 있다.

현대차그룹이 올해 임금동결에 나서거나 삭감에 나서는 이유는 무엇일까. 한마디로 경영 환경이 위중하다는 방증이다. 원래 임금은 물가 상승이나 경제 성장률을 감안해 인상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러나 우리 경제가 처한 현실은 '바람 앞에 촛불'처럼 위태한 상황이라는 점은 누구나 아는 사실이다.

실업자가 양산되는 속에서 국정 공백이 장기화하고 세계 경제가 불확실한 상황으로 흘러 우리 경제가 벼랑 끝으로 내몰리고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지경이다.

모두들 허리띠를 졸라매며 비상한 마음을 갖고 지금의 위기를 극복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특히 현대차그룹은 지난해와 재작년 연속으로 판매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데다 올해 국내는 물론 세계 자동차시장도 침체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올해 판매 목표 달성도 녹녹지 않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판단이다.

따라서 이번 임금 동결은 이런 위기 국면을 전사적으로 슬기롭게 넘기고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가기 위한 고육지책이라고 말할 수 있다. 자발적인 조치가 아니므로 실행과정서 다소간 불만이 터져 나올 수 있겠지만 현재 그룹이 처한 환경을 비상한 국면으로 바라보고 대처하겠다는 점은 의미가 있어 보인다. 이는 다른 그룹의 임금 결정에도 어느 정도 가이던스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이는 또한 인사혁신처가 올해 국가 공무원 임금을 3.5% 올려주기로 한 결정과도 대비된다. 공무원 임금은 2015년 3.8% 인상을 비롯해 2016년에는 3.0% 인상된 바 있다. 인사혁신처는 최근 물가 상승률 등을 감안해 임금 인상을 결정했다고는 하지만 3년 내리 3% 이상(평균 3.4%) 올렸다는 것은 기업들의 허리띠 졸라매기와 여러모로 비교된다.

특히 최근 물가상승률이 1%에도 못 미치는 저물가가 국면이 지속되고 경제성장률이 지난 3년 연속 2%대에 머물고 있는 상황에서 올해는 2%대마저 위험하다는 예측이 나오는 까닭에 각계의 임금 결정도 고민이 되는 형국이다.

더욱이 정치권은 올해 대선에 올인하느라 공무원 봉급의 고율 인상이나 공기업의 방만한 운영에 대해 전혀 지적을 내놓지 못하는 처지다. 따라서 정부와 공기업이 민간 기업이나 국민 정서에 부응해 자발적인 허리띠 졸라매기에 동참하는 게 요구되는 시점이다.

또한 현대차그룹 경영진의 이번 결단이 전사적으로 파급되기 위해서는 노조가 전면적으로 동참을 할 수 있는지가 관건이다. 지난 2009년에는 현대차 노사가 합의를 통해 임금을 동결한 전례가 있다고 한다. 이번에도 노사 합의를 통해 그룹 전체 직원들의 임금동결을 이끌어낼 수 있다면 이는 현대차그룹의 위기 극복에 큰 도움을 주는 것은 물론 한 단계 더 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그룹은 이미 다른 대기업들에 비해서도 고액 연봉을 받는 직장으로 분류된다. 특히 현대차와 기아차의 평균 연봉은 1억 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독일의 폭스바겐이나 일본의 도요타에 비해서도 높은 연봉을 받고 있어 현대차그룹의 경쟁력을 갉아먹는 요인이 되고 있다는 지적도 듣고 있다.

하지만 이번에 그룹 차원에서 임금을 동결하고 당초 내세운 판매목표를 달성하며 영업이익도 끌어올린다면 분위기는 달라질 것이다. 특히 한 해 성과를 마무리하며 그 성적에 따라 보너스를 지급하는 관행이 정착됐으면 한다.

글로벌 선진 기업들은 이미 성과급 제도를 활성화해 노사 안정을 꾀하고 성과에 따른 임금제도를 정착해 운영하고 있다. 또한 이를 협력사와도 연계해 고통과 성과를 함께 나누는 시스템으로 정착해 나가길 바란다.

현대차가 성과에 따른 임금을 정착시키면 매년 되풀이되는 임금협상을 둘러싼 지루한 공방이나 파업도 줄어들 여지가 있을 것이다. 이는 곧 지난해와 같은 대규모 파업손실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은 물론 협력사들과도 성과에 연동한 임금 지급과 성과 나누기가 마련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올해 대선에 임하는 대권 주자들도 대기업의 기본급 인상은 억제하고 성과급을 활성화하는 제도 도입에 귀를 기울일 것을 권한다. 아울러 노사는 물론 협력사가 함께 고통과 성과를 나누는 시스템을 어떻게 정착시켜 나갈 것인지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노사 안정을 꾀하면서도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임금 격차를 줄이고 전체 국민과 기업의 복지를 향상시키는 계기로 삼을 것을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초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