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대부분 주주만 출입 허용…일부선 언론·시민단체 막아

[초이스경제 윤광원 기자] 상장회사들의 ‘주총’이 한창 진행중이다.

그러나 은행을 포함한 대부분의 상장사들이 주주명부에 등재돼 있는 주주만 주총장 출입을 허용하고, 언론의 취재나 시민단체 관계자들의 입장을 불허하고 있는 것은 이해할 수 없는 일이다.

1990년대까지만 해도 기자는 물론, 대학생들의 주총장 출입도 자유로웠다. 그들은 기업들이 나눠주는 기념품까지 챙겨갈 수 있었다.

언론은 주총장에서 주주들의 발언을 생생하게 보도했다. 일부 소액주주들의 주총장 진입을 강제로 막거나 노동조합이 시위를 벌이고, 심지어 경영진이 폭력배들을 동원해 공포 분위기를 조성했다는 식의 보도도 많았다.

그러나 기자들의 주총장 출입을 불허하면서, 언론은 기업이 일방적으로 발표하는 주총 결과만 전할 수밖에 없게 됐다.

시민단체의 기업 감시활동도 어려워졌다.

짐작컨대, 기업들의 주총 비공개는 2000년대 초반 일부 대기업 주총에서 시민단체들이 재벌의 편법 상속, 주주이익 침해 등을 성토하면서 시작되지 않았나 본다.

그들은 주총장마다 찾아다니며 경영진을 괴롭히다가 ‘대가’를 챙기면 입을 닫는 이른바 ‘주총꾼’ 차단을 구실로 내세운다.

그러나 어차피 주주가 아니면 주총장에 입장해도 의결권은 물론 발언도 할 수 없다. 기자나 시민단체 관계자가 어떻게 주총꾼이 될 수 있는가?

이는 언론과 시민단체의 견제와 감시를 막으려는 의도로서, 경영투명성 강화와 주주가치 제고라는 시대적 흐름과 상반된다.

대기업들이 ‘공공성’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무시하고 이 사회와의 소통을 외면하며 거꾸로 가고 있는 것이다.

사실 실효성도 없다. 기업의 속살이 재무제표를 통해 낱낱이 공개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사실을 모를 리 없는 금융당국도 문제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상장사들의 ‘역주행’을 언제까지나 팔짱끼고 지켜보기만 할 텐가?

 

 

저작권자 © 초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