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신 "미국, 런던 중심의 세계화 퇴조...중국 역할 커질 수도"

[초이스경제 윤광원 기자] 최근 국제금융시장에서도 ‘세계화’가 퇴조하고 ‘자국 우선주의’가 득세하면서 국제 금융규제 통합논의도 차질을 빚을 전망이다.

5일(현지시간) 외신들에 따르면 미국 트럼프 대통령 당선 이후 패트릭 맥켄리 미 금융서비스위원회 부위원장은 바젤은행감독위원회의 규제를 더 이상 받아들일 수 없다고 주장했다.

또 영국 은행권은 유럽연합(EU) 탈퇴(브렉시트)로 단일면허를 통한 EU 사업이 불가능해져 EU의 금융통합을 위협하고 있다.

이와 관련,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국제 금융규제 통합의 수준이 낮아질수록 개별 금융기관은 국제 통일기준에 맞춰 업무를 수행하기보다 국가별 규제에 적응하는 것을 더 중요시하며, 이에 따라 세계 자본시장의 효율성은 점진적으로 악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금융기관들은 개별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지역을 찾고 해당 지역별 규제에 맞는 대응을 해야 하므로 더 많은 인력과 재원을 투입해야 하며, 이는 장기적으로 소비자의 비용증가를 초래한다는 것이다.

WSJ는 “국제결제은행(BIS)의 자이메 카루아나 총재는 ‘금융규제의 통합노력은 지속될 것’이라고 주장하지만, 브렉시트와 미국 트럼프 정권의 출범을 고려할 때 국제 금융규제의 통합 가능성은 점점 낮아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파이낸설타임스(FT)도 “최근 국제금융시장 내 세계화 흐름의 퇴조는 금융중개기능 왜곡 등이 주요 요인”이라고 전했다.

FT는 “금융위기 이후 국제금융시장에 대한 부정적 견해가 확산되고 있다”면서 “금융회사와 규제당국도 관련 시스템이 경제주체에 편익을 주지 못했다고 체감했기 때문으로, 세계화 수용 거부감이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세계화 붕괴는 지나친 우려로 인한 자금흐름 왜곡의 결과”라며 “이는 달러화와 미국 중심 세계금융시스템의 후퇴를 의미하고, 이를 중국이 대체할 가능성도 존재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초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