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이스경제 장경순 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이사회가 계속 금리를 올리고, 유럽중앙은행(ECB)도 긴축으로의 전환을 시사하고 있다. 영란은행(BoE)과 캐나다 중앙은행도 금리 인상을 시사한 가운데, 일본은행이 G7 중앙은행 중 유일하게 부양적 통화정책을 지속하고 있다.

일본에서도 양적완화 종료 주장은 간간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인플레이션이 일본은행의 연간 2%와는 비교도 할 수 없이 낮다.

구로다 하루히코 일본은행 총재의 지난 6월 발언처럼 출구전략을 논의할 시점도 아니지만, 다른 문제도 지적되고 있다.

금융연구원의 금융브리프 최신호인 8일자 일본 내 주요연구동향에 따르면, 양적완화와 관련된 일본은행의 보유자산은 500조 엔으로 늘어났다. 이런 상황에서 양적완화 출구전략이 시행되면 금리가 상승하면서 일본은행 보유자산의 가치가 떨어지고 자산 평가손이 늘 것으로 예상된다.

그렇다고 일본정부가 재정으로 지원할 수도 없는 상황이다. 이미 일본 정부의 부채가 국내총생산(GDP)의 200%가 넘기 때문이다.

일본은행은 Fed의 양적완화와 달리, 시행과정에서 대상채권의 물량 부족도 겪었다. 그래서 지난해 9월 양적완화 방식을 매월 일정규모 채권 매입에서 벗어나 10년 만기 국채 금리 0% 유지 방식으로 바꿨다.

이래저래 일본은행의 양적완화는 Fed에서 볼 수 없던 기술적 문제들을 초래하고 있다.

또한 일본은행의 금리인상은 장기금리 상승에 따라 설비투자를 감소시키고 엔화강세로 인한 수출 감소도 초래하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그러나 제일생명연구소는 일본은행의 금융완화정책이 지속되면 엔화약세 가속화로 수입물가가 오르고 이에 따라 물가상승 압력이 증대돼 가계의 부담을 늘리고 소비가 위축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초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