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단 우후죽순 탄생하지만...선거 목적은 아니었으면

▲ 김용기 위원

[초이스경제 김용기 칼럼] 요즘 각 지방자치단체에선 문화재단 설림이 늘고 있다. 일부 문화재단은 아주 소규모로 설립되고 있다.

그러나 같은 문화재단이라도 저마다 처한 환경은 다 다르다. 내가 이런 규모로 운영한다고 해서 다른 사람이 작은 규모로 운영하는 것을 평가 절하할 수는 없다. 그쪽 재단은 그럴만한 연혁과 사정이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기본적으로 이 계통 일을 하다보면 상식적인 선은 있는 법이다. 문화재단의 규모가 너무 작으면 일을 하는 데 많은 제약이 따르는 것은 상식이다.

지난해부터 각 자치단체의 후원에 힘입어 많은 문화재단들이 탄생하고 있지만 그 규모가 제각각이다. 어느 문화재단은 전체 직원 수가 5명이 안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내가 이 일을 해오면서 체감하는 바로는, 문화재단에는 최소 20명의 인력이 필요하다. 물론 그게 절대적인 것은 아니고 전적으로 내 개인의견이다. 필요한 최소인원이 10명일수도 있고 30명일 수도 있다.

일부에서는 문화재단이 선거용으로 만들어진게 아니냐는 의혹도 쏟아진다고 한다. 말하자면, 그 지역 자치단체장이 함께 정치를 하는 사람들을 위해서 만들어준 자리라는 것이다.

인원이 소수인 곳뿐만 아니다. 많은 인원을 가진 재단이라고 해서 이런 ‘낙하산 시비’에서 자유롭지 못한 곳이 많은 게 현실이다.

지역 의회에서 문화재단을 향해 야당 의원들이 트집을 위한 트집을 잡는 것도 이런 현실에 비춰보면 전혀 이해가 안 가는 것도 아니다.

자치단체장이 자기 사람 생계를 보장해주기 위해 재단을 만들고 자기 사람을 낙하산으로 보냈다는 의심이 있다면 야당 의원들이 이걸 어떻게 묵과할 수 있겠는가.

이런 낙하산 시비가 야당의원들을 자극하고, 그 여파로 야당의원들은 더욱 없는 잘못도 찾아내기 위해 혈안이 된다.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처럼 누가 먼저 잘못했는지 따지는 건 무의미하다.

낙하산으로 자리를 차지한 문화재단 사장들이 늘어나면, 낙하산과 무관한 전문가 사장들까지 부담이 가중된다. 단체장과 당적이 다른 지역의원들은 문화재단 사장이라면 무조건 단체장의 측근 인사로 여기기 때문이다.

현실이 이렇기 때문에 문화재단이 새로 탄생할 때마다 기쁜 마음보다 걱정이 앞설 때도 있다. 문화재단들끼리는 서로 경쟁하는 관계는 아니다. 주력하는 지역부터 다르기 때문이다.

하지만, 문화재단이 문화융성의 차원에서 늘어나는 것이 아니라 정치적 필요성으로 늘어난다면, 그에 대한 당연한 여파로 더욱 정치싸움의 쉬운 대상이 된다.

정치적 이유로 탄생한 문화재단이면, 끝내는 그런 재단의 티를 내고 만다. 제대로 된 문화사업에는 관심이 없고, 생색내는 거나 재단의 존속 자체만을 위한 ‘눈가리고 아웅’식의 운영을 하기 때문이다. 이 또한 지역주민들, 즉 국민들의 혈세 낭비다.

새로운 재단이 탄생할 때 축하화환도 보내주고 덕담도 전하지만, 솔직한 내 속내는 무겁기 이를 데 없다.

 

 

저작권자 © 초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