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단 사장 만큼은 관료화되거나 정치에 예속되면 안돼

▲ 김용기 위원

[초이스경제 김용기 칼럼] 문화재단 사장들이 반드시 명심해야 할 것이 있다. 문화재단을 운영하는 사장들마저 관료화된다면 이 또한 문화 사업이 엉망이 되는 길의 하나라는 점이다.

사장은 정말 자기 창의력을 발휘해서 지역사회에 도움이 되는 문화 사업을 해야 한다.

그런데 문화재단 사장들을 유심히 살펴보니 재미있는(?) 면이 있음을 깨달았다. 한 지역의 재단에서 근무했던 사장이 임기가 끝나니까 다른 지역에 가서 사장을 또 하더라는 것이다. 마치 재단 사장들이 직장인들의 인사이동처럼 이곳저곳을 왔다 갔다 하는 것이다.

한 재단에서 임기를 갖고 근무를 하면 임기가 끝나는 날이 올 때까지 오로지 이 지역의 문화발전만 생각하면서 일에 매달려야 한다. 그런데 임기가 끝나갈 때가 되면, 해야 할 일보다 다른 데 또 가서 사장할 곳 없나만 찾아다닌다면 문화예술인으로서 지역주민들에게 씻을 수 없는 죄를 짓는 것이다.

문화재단의 인사권은 지역 자치단체장들이 갖고 있다. 재단사장 자리를 얻는 데만 관심이 있으니 독립적 마인드로 문화 활동을 할 수 없다. 정치인인 자치단체장들 눈치만 보게 되면 정치권력에 예속될 우려도 있다.

소신껏 일을 하다 임기되면 가는 것이고, 재임중 좋은 평가를 받아서 “이런 사람을 모셔 와야 되겠다”고 판단한 곳이 있다면 보람을 갖고 가서 일을 하면 되는 것이다.

자리 자체가 목적이 돼서, 여기서 임기 한번 채우고 지방 한번 갔다 오고 또 서울 와서 임기 채우고 하면서 어떻게 지역사회를 위한 진정한 문화예술인이라고 자부할 수 있나.

그리고 문화재단 사장은 문화예술의 전문가가 해야 된다고 강조하고 싶다. 100%는 아니어도 어느 정도는 전공자가 할 필요가 있다. 성악, 기악을 했거나 그림을 그렸거나 가수를 했던 사람이 현장을 제일 잘 안다. 공연사업을 해 본 사람도 마찬가지다.

그런데 현재 문화재단 사장들 중에는 이런 전문가가 얼마나 되는지 묻고 싶다. 이렇게 해서는 재단 발전도 안되고 문화도 발전되지 안된다.

문화재단 사장을 선임할 때는 주로 공모를 한다. 그런데 이 공모가 허울뿐인 때가 많다. 애초부터 자치단체장의 사람한테 자리하나 마련해 준다는 인식이 퍼져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지만, 상당수 그런 재단 사장들이 있기 때문에 올 때부터 '내 편이냐 네 편이냐' 시비의 대상이 된다.

전문가가 아니라 정치적 이해에 따라 오는 사장이 많기 때문에 극심한 반대가 당연한 것처럼 돼 있다. 전문가 아닌 사장이 오면 정말로 임기 내내 월급만 받다가 가는 것이다.

이런 것이 정말로 문화발전을 저해한다.

오늘날 많은 문화재단과 문화공간들이 생겼다. 지방자치단체가 설립하기도 하고 대기업들이 만들기도 한다.

문화공간들이 생겨나면, 누가 운영할 것인가에 대해서도 진지하게 연구해야 한다.

이런 시설을 만든 소유자가 운영할 것인가, 아웃소싱을 할 것인가. 전문가가 운영을 할 것인가, 아니면 문화재단을 만들 것인가.

개인적으로는 민간 전문가에게 맡기는 것이 가장 훌륭한 방법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저작권자 © 초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