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폐쇄 오히려 호재 될 수도...부채한도 협상이 더 관건

한국을 비롯한 글로벌 증시는 이번주에도 주초반부터 심각한 불확실성과 싸워야 하는 상황이 되어가고 있다. 우선 30일(이하 미국시각) 자정까지 단 하루 남짓한 촉박한 시간안에 예산안 처리가 불가능할 것으로 보이는데다 10월2일엔 버냉키를 비롯한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 연준) 인사들의 발언도 예정돼 있어 이 또한 변수가 될 전망이다. 또 10월4일엔 미국 9월고용지표가 발표되는 등 주요 경제지표 발표도 연이어 대기하고 있다.

29일(미국시각) 국내외 증권계에 따르면 우선 단 하루 남은 예산안 협상에서 미국 공화당과 민주당이 첨예한 대립을 계속하고 있어 물리적으로 30일(미국시각) 자정까지 미국 민주 공화 양당이 타협점을 찾기는 힘들 전망이다. 무엇보다 주말 워싱턴 정가의 상황이 험악했다. 상원이 지난 27일 오바마 케어를 복원한 임시 예산안을 통과시켜 하원으로 보냈지만 하원에선 28일 오바마 케어를 1년 더 보류하는 것을 골자로 오는 12월 중순까지 운용할 임시예산안을 다시 만들어 상원으로 돌려 보내는 등 핑퐁 게임이 지속되고 있다.

아울러 상원과 하원간 첨예한 갈등 속에 설사 상원을 비롯한 의회가 오바마 케어를 삭제한 예산안을 극적으로 통과시킨다하더라도 오바마가 이를 승인할 리 만무하다. 거부권을 행사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대통령은 예산안 거부권을 갖고 있다. 따라서 단 하루 남짓 남은 기간 민주-공화 양당이, 그리고 상하원이 절충안을 극적 타결시키고 나아가 30일 자정까지 오바마의 서명까지 받아낼 수 있을지는 지극히 불투명하다. 따라서 이런 절차가 성사되지 못할 경우 당장 10월1일부터 일시적인 정부 폐쇄는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런 가운데 미국 시장은 이번 정부 폐쇄를 기정 사실로 받아 들이면서도 시장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일시적인 경제 충격은 있겠지만 정부 폐쇄기간만 지나면 경제지표와 시장상황은 곧바로 정상적으로 복원될 것이란 기대 때문이다.

게다가 심지어는 10월초에 아예 연방정부가 일시 폐쇄되는 것이 호재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이번 예산안 협상보다는 오히려 10월 17일까지로 되어있는 부채한도 협상이 더 중요한데 차라리 예산안 협상에서 악재가 발생하면 부채한도 협상은 오히려 순조롭게 이뤄질 수 있다는 기대 때문이다.

이와관련, 제프리 로저 알트만 전 미국 재무부 차관은 “지난 40년간 무려 17차례의 연방정부 폐쇄 경험이 있었으나 그 충격은 제한적이었다”면서 “이번 워싱턴 리스크중 더 중요한 것은 예산안 불발에 따른 연방정부 일시 폐쇄가 아니라 10월 17일까지 진행될 부채상한선 증액협상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예산안 결렬로 10월초 정부 폐쇄가 이뤄지더라도 그 기간은 3~5일로 아주 짧을 것이란 전망도 있다. 결과적으로 그 책임을 공화당이 뒤집어 쓸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연방정부가 폐쇄되더라도 그 충격이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이런 가운데 이번주엔 연방정부 폐쇄 이슈 말고도 여러 경제지표 발표가 줄지어 기다리고 있다. 우선 10월1일엔 유로존 9월 PMI(구매관리자지수) 발표가 있고 10월2일엔 미국 ADP민간 고용지표가 공개된다. 또 10월3일엔 전주 주간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가, 10월 4일엔 미국 9월 고용지표(실업률) 발표가 예정돼 있다. 그러나 정부 폐쇄시 이들 지표가 공개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정부가 일부 업무를 스톱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정부가 일시 폐쇄되더라도 단한명의 직원(공무원)만 있으면 지표를 공개할 수 있다”며 “정부 폐쇄로 인해 주요 경제지표가 공개되지 못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와 더불어 10월2일 벤 버냉키 등 연준인사들의 연설이 예상되어 있는 점도 이번주에 신경써야 할 대목이다. 양적완화 향후 전망이 일부나마 드러날 수 있는 까닭이다.
 

저작권자 © 초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