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경제연구원 "가계대출 증가세, 대출금리 일정 수준 도달해야 둔화"

[초이스경제 이영란 기자]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이 임박했다는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기준금리가 인상될 경우 국내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29일 현대경제연구원은 ‘국내 금리 인상기의 경험이 현재에 주는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최근 한국은행의 1차 금리 인상기(2005년 10월∼2008년 9월), 2차 인상기(2010년 7월∼2012년 6월)의 실물·금융시장 움직임을 분석했다.

▲ 자료=현대경제연구원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행은 1차 인상기 때 8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연 3.25%에서 5.25%로, 2차 때 5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연 2.00%에서 3.25%로 각각 인상했다.

이에 따라 1차 인상기 동안 경제성장률은 4~6%의 높은 성장률을 유지했으며 2차 인상기 역시 금리 인상기 초반에는 6%에 육박하는 성장률을 기록한 이후 추세적으로 하락했다. 기준금리 인상은 국내 경기 회복세를 전제하므로 금리 인상기에는 경기 개선이 동시에 나타난다는 평가다.

또한 1차 인상기에는 국내 물가가 안정된 흐름을 보였지만 2차 인상기에는 5%에 육박하는 인플레이션이 발생했다. 비용상승형 인플레이션이 나타날 경우 기준금리 인상으로 물가를 안정시키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는 진단이다.

김천구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최근 국제유가가 급등 할 우려가 커지고 있다"면서 "국제유가가 지속해서 불안할 경우 2차 인상기의 비용상승형 인플레이션이 재현될 우려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런가 하면 기준금리 인상은 일반적으로 대출금리를 상승시켜 부동산 수요를 줄이는 방향으로 작용하지만 과거 금리 상승기에 부동산 가격은 오르는 방향으로 움직였다. 경기 회복세일 경우에는 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부동산 구매 수요가 늘어난다는 분석이다.

금리 상승이 여러 차례 진행되면서 금리의 수준 자체가 높아지고 경기가 서서히 둔화 국면에 진입할 때 국내 부동산가격의 상승 추세가 꺾였다.

가계빚 역시 역시 대출금리가 일정 수준에 도달하고 부동산 경기가 위축될 때 증가세가 둔화됐다. 1, 2차 금리 인상기 모두 가계부채 증가율은 기준금리가 약 1% 포인트 정도 상승한 시점부터 서서히 둔화됐다는 설명이다.

그런가 하면 기준금리 인상은 원화 강세 요인으로 작용하며 특히 금리 인상 시작 시점에 원화 강세 현상이 두드러졌다. 하지만 주식시장은 기업 실적 개선의 영향으로 상승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김 연구위원은 “국내 기준금리가 인상국면에 진입할 경우 다양한 변화가 예상된다”면서 “기준금리 인상 시기에는 국내 경기 상황에 맞는 통화정책을 수행하는 동시에 국내 경제의 근본적인 체질개선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초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