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미스트 "중동 국가들 지출 감당하려면 최소 40달러 돼야"

[초이스경제 이영란 기자] 최근 국제 유가가 '숨고르기' 상황을 연출하고는 있지만 고공행진을 지속하는 가운데 단기간 내에 추락할 가능성은 별로 없다는 진단이 나왔다.

22일 골든브릿지 투자증권 법인본부 이동수 전략가 등이 작성한 ‘골든 인베스트 아이디어’에 따르면 최근 이코노미스트가 내보낸 유가 전망 분석이 눈길을 끈다.

이코노미스트는 유가 전망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2년 전 유가가 슬럼프를 겪었던 때로 돌아가야 한다고 진단한다.

당시 유가 약세는 주로 중국 경제의 취약성이라는 수요 약세와 사우디의 감산 미 이행 등 공급 확대 영향이 컸다.

하지만 수요는 빠르게 회복됐다. 중국 경제가 다양한 정책을 바탕으로 활기를 띠면서 원자재 가격이 폭등했고 글로벌 경제에도 성장 신호가 나타났다.

공급 측면에서는 OPEC(석유수출국기구) 산유국들이 감산에 합의할 수 있다는 점을 증명해냈다. 2016년 11월의 감산 합의는 지난해부터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원유 재고가 감소하면서 원유 가격이 상승하기 시작했다.

이 같은 유가 상승세는 현재까지도 지속되고 있다. 유가 상승은 종종 중동 국가들의 정치적 혼란 때문이라는 지적을 받는다. 모건스탠리의 마르테인 래츠는 “일반적인 우려 사안들은 상존해 있지만 물리적 공급에 미칠 영향은 부재하다”고 말했다고 이코노미스트는 전했다.

셰일 또한 가격 신호에 유연하게 반응할 수 있는 원유 산업의 요소로 여겨진다. 유가 수준이 지나치게 높다면 미 텍사스에 위치한 채굴업자들이 셰일 시추에 나설 것이다. 하지만 소형 생산업체의 경우 금융기관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데다 원유 시추 이후 본격 공급까지는 몇 개월이 걸린다.

증시 등 금융시장이 유가 상승에 큰 불안감을 보이지 않는 것도 고무적인 수수께끼이다. 1970년대 오일쇼크 이후 금융시장은 급작스런 유가 상승을 경제적 재앙과 연결시켰다. 원칙적으로 유가 상승에 따른 효과는 중립이지만 실질적으로 유가 상승의 순 효과는 글로벌 수요를 감소시켰다. 중동의 원유 수출국들이 서방 원유 소비국들로부터 벌어들인 우발적 소득의 대부분을 저축하는 경향을 보였기 때문이다.

현재 원유 수출국들은 정부지출 예산을 메우고 소비재 수입을 늘리기 위해 높은 유가 수준에 더욱 의존하게 됐다. 중동 원유 생산국들의 이 같은 지출을 감당하려면 유가가 최소 40달러는 돼야 한다

원유 대기업인 BP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스펜서 데일은 이 잡지와의 인터뷰에서  “글로벌 원유 수요가 정점을 찍게 될 상황은 아마도 10년 후의 이야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거대 원유 수출국들은 매우 낮은 유가 수준에서 오랫동안 버틸 수는 없다. 원유 수입에 의존하는 정부의 지출을 포함해 위 국가들의 생산의 ‘사회적 비용’은 평균 배럴당 60달러 수준이다.

유가는 지나치게 높다. 하지만 추락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주로 대형 원유 생산업체들이 현재의 유가 수준에 익숙해졌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초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