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회서 IPO · 신종자본증권 등 5조 자본조달 계획 결정
신창재 회장 '지분율 희석' 난관, 금리 · 주가 등 시장상황 변수

▲ 사진=교보생명 제공

[초이스경제 임민희 기자] 최근 교보생명이 자본확충을 위해 기업공개(IPO)와 신종자본증권(영구채) 발행을 공식화하면서 상장시기 및 자본조달 규모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교보생명은 2021년 새 국제회계기준(IFRS17) 및 신지급여력제도(K-ICS) 도입을 앞두고 증자를 통해 최소 2조원에서 최대 5조원 이상의 자본을 확보할 방침이다.

'보험업계 상장 대어'인 교보생명의 IPO 추진 이슈는 일단 시장의 주목을 끌고 있지만 신창재 회장 등 오너일가의 지분율 희석 우려로 실제 상장이 이뤄질지는 두고 봐야 한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7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교보생명은 최근 이사회를 열고 IPO와 신종자본증권(영구채) 발행 등을 통한 5조원 규모의 자본확충을 추진하기로 결정했다. 또 지난 5일에는 주관사 선정을 위한 입찰제안요청서(RFP)를 NH투자증권과 미래에셋대우 등 국내외 증권사 및 투자은행(IB) 업계에 발송했다. 교보생명은 이달말 쯤 국내 증권사 1곳과 외국계 증권사 1곳을 상장주관사로 선정할 계획이다.

교보생명 관계자는 "7월 말 열린 이사회는 K-ICS 초안에 대한 영향평가 결과를 보고하는 자리였다"며 "현재 IPO를 감안한 증자를 추진 중인 건 맞지만 구체적인 시기나 방안, 조달규모는 확정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금융당국에서 신지급여력제도(K-ICS)에 대한 세부안이 나오면 각 보험사마다 자본확충이 어느 정도 필요한지 구체적으로 정해질 수 있을 것이라는 말도 덧붙였다.

앞서 교보생명은 IFRS17 도입 관련 자본조달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지난 2년간 크레디트스위스, JP모간 등으로부터 컨설팅을 받아 올해 초 K-ICS 초안을 수립했다. 교보생명은 이 초안을 토대로 보험료율 등을 고려해 필요한 자본규모를 추산했다.

이 관계자는 자본조달 방안과 관련해 "증자안은 IPO 외에 신종자본증권이나 후순위채가 될 수도 있다"며 "다만 최근 금리상황이 좋지 않아 신종자본증권 발행 계획을 보류한 상태로 추후 시장상황을 지켜보면서 종합적으로 검토해 볼 것"이라고 신중한 입장을 견지했다. 교보생명은 계열사인 교보증권 매각(지분 51.63%) 가능성도 열어뒀지만 "현재 구체화된 부분은 없다"고 일축했다.

업계는 교보생명이 예정대로 내년 IPO에 성공할 경우 시가총액 7조원 규모의 상장사로 발돋움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는 보험주 중에서는 삼성생명(19조원), 삼성화재(13조원)에 이어 세 번째 규모다.

일각에서는 교보생명의 상장작업이 녹록치 않을 거란 전망도 제기된다. 오너일가의 지분율이 많지 않아 상장 추진시 경영권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지적에서다. 신창재 회장이 보유한 교보생명 지분은 3월말 기준 33.78%(약 693만주)이며 특수관계인 포함시 36.91%(약 757만주)다.

교보생명은 지난 2012년 지분 24%를 어피너티 컨소시엄(어피너티에쿼티파트너스·IMM PE·베어링PE, 싱가포르투자청 등)에 1조2054억원을 받고 팔면서 2015년 9월까지 상장하겠다고 약속했다.

당시 어피너티 컨소시엄은 재무적투자자(FI·우호지분)로 참여하는 대신, 교보생명이 상장약속을 지키지 못할 경우 신 회장이 지분을 되사주는 내용의 풋옵션 계약을 맺었다. 하지만 교보생명은 IFRS17 도입 관련 자본확충 문제를 이유로 상장을 3년째 미뤄왔다.

시장전문가들은 교보생명이 '지분율 희석' 문제가 걸려있는 만큼 IPO 보다는 신종자본증권 발행 등을 통해 최대한 자본을 조달할 것으로 보고 있다.

정준섭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교보생명은 상장보다는 자본확충에 포커스를 맞추고 있기 때문에 우선 신종자본증권이나 후순위채를 발행해 보고 이것만으로 부족하다면 그때는 IPO를 검토하지 않을까 생각된다"며 "자본조달 규모는 금리변화 등에 따라 바뀔 수 있어 좀 더 상황을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정 연구원은 교보생명의 상장 가능성에 대해 "IPO를 하는 이유는 자본확충 때문인데 신주를 발행하는 만큼 대주주의 지분율은 낮아질 수밖에 없다"며 "신창재 회장의 지분은 37%밖에 안 돼 회사 입장에서는 IPO가 매력적인 자본확충 수단은 아닐 것"이라고 부정적 시각을 내비쳤다.

 

 

저작권자 © 초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