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이사회. /사진=Fed 홈페이지.


[초이스경제 장경순 기자] 글로벌 금융위기가 2008년 발생했을 때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 이사회는 금리를 0%로 낮추는 제로금리 뿐만 아니라 양적완화와 같은 ‘비전통적’ 통화정책으로 위기를 타개했다.

양적완화는 Fed 뿐만 아니라, 유럽중앙은행(ECB)과 일본은행 등 다른 선진국 중앙은행들도 시행했지만, 성과에 있어서 Fed가 다른 중앙은행들을 앞선다. Fed는 이미 양적완화를 종료하고 금리인상에 들어서 있다.

만약 당시와 같은 금융위기가 다시 발생할 경우, Fed는 당시의 정책을 다시 활용함으로써 위기를 벗어날 수 있을까. 그것만으로는 부족하다는 것이 금융연구원의 판단이다.

금융연구원은 20일 금융브리프의 국제금융이슈를 통해 또 다시 미국의 금융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을 지적했다. 현재 미국의 주택가격이 2006년처럼 지나치게 과대평가돼 있는 것은 아니지만 지금은 주가의 고평가가 문제로 지적된다. 고평가된 주가가 급락할 경우 소비 급감과 실물경제 침체 국면이 재차 초래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금융연구원은 밝혔다.

과도한 주가를 만든 요인은 낮은 장기금리다. 10년 만기 국채수익률이 3%에 못 미치고 있는데 인플레이션을 감안한 실질수익률은 거의 제로 수준이다. 이 때문에 자금이 더욱 주식으로 몰리고 있다.

그러나 Fed의 금리인상이 지속되고, 인플레이션과 미국 연방정부의 재정적자 확대로 장기금리가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

금융연구원은 장단기금리 정상화로 주가수익비율(PER)이 과거 평균수준으로 크게 낮아지면 주가수익비율이 현재보다 40% 낮아지는데 이는 가계자산이 10조 달러 감소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과거 가계자산과 소비 간의 상관관계에 근거할 때 10조 달러 가계자산 감소는 연간소비를 4000억 달러 감소시키고 국내총생산(GDP)을 2% 축소시킬 것으로 추정된다. 기업 설비투자 감소까지 감안하면 충격은 더욱 커진다.

금융연구원은 과거 경기침체가 저점에서 고점까지 1년 미만에 불과한 완만한 형태로 단기간에 걸쳐 진행됐지만, 장기금리 상승으로 인한 침체는 격심하고 장기간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Fed가 과거처럼 신속하게 금리를 내리는 방법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고, 재정적자가 늘어나서 재정정책을 통한 경기부양도 쉽지 않다고 금융연구원은 덧붙였다.

따라서 향후 위기 때 Fed가 쓸 수 있는 방법은 주식매입권 행사, 회사채의 양적완화정책 적격자산 편입이라고 금융연구원은 제시했다.

금융연구원은 이와 함께 물가상승률 목표를 높이는 것도 병행할 필요가 있다고 제시했다. Fed가 물가목표를 현재의 2%에서 4%로 높일 경우, 실질금리 목표가 2%포인트 낮아지는 것이므로 마이너스 금리 등의 통화완화정책이 더욱 강력해진다고 금융연구원은 설명했다.

 

 

저작권자 © 초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