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타임스, 노동정책보다 재벌정책 회귀 여부 주목

▲ 민주노총의 21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 집회. /사진=뉴시스.


[초이스경제 장경순 기자] 민주노총의 지난 21일 대규모 집회는 외신들에게 특별히 관심이 될 일은 별로 없다. 이해관계로 봤을 때, 외국기업이나 투자자들과는 크게 관계없는 한국 내 노동정책이 관건이기 때문이다.

외신으로서는 보기 드물게 파이낸셜타임스가 28일 민노총의 시위를 주목했다. 그런데 맥락은 노동정책과는 좀 동떨어졌다.

파이낸셜타임스는 영국의 유서 깊은 경제금융매체로, 2015년 주인이 일본경제신문으로 바뀌었다.

이 신문은 28일 기사에서 “아시아에서 가장 역동적인 민주주의를 나타내는 한국의 시위 양상이 최근 몇 주에 이르러 바뀌었다”며 “좌파경향(left-leaning) 문재인 행정부의 전통적 지지자들이 거리로 나와 한국 대통령의 개혁 약속 실패를 비판하고 있다”고 전했다. 문재인 대통령에 좌파(left) 관련 용어를 연계시키는 것은 일본경제신문 계열 언론사들이 흔히 보이는 논조다.

파이낸셜타임스가 사진과 함께 제시한 것은 민주노총의 시위다. 그러나 이 신문은 시위대가 지적하는 문 대통령의 약속 불이행을 노동정책이 아닌 다른데서 찾고 있다. 행정부가 아니라 법원의 권한에 있는 재벌 회장들에 대한 집행유예 선고다.

파이낸셜타임스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박근혜 전 대통령의 측근에게 뇌물을 지급했다고 판결이 났는데도 올해 집행유예 판결을 받았다”고 전했다.

이 신문은 재벌 회장이 뇌물사건에서 집행유예를 받는 가능성이 70%를 넘는 반면, 재벌 총수가 아닌 사람은 40%, 절도와 같은 범죄는 20%라고 지적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취임 직후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을 임명했을 때는 재벌에 대한 개혁 기대가 높았고, 그는 재벌지배구조를 개선하는 성과를 올렸다고 평했다.

그러나 최근 수개월, 경기가 둔화되자 거대기업의 영향력을 줄이려는 노력이 감퇴되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는 지적했다.

이 신문은 특히 문 대통령이 재벌 총수들과 함께 북한을 방문한데 대해서도 재벌개혁 의지를 의심했다.

기사의 논조가 전체적으로 민주노총을 비롯한 노동계의 비판 원인이 노동정책 조정보다 재벌총수에 대한 관용에 있는 것으로 전개되고 있다.

민노총 집회에 대해 현재까지 눈에 띌만하게 전하는 외신은 이 기사 정도다.

 

 

저작권자 © 초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