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현대차 통합사옥 건립 허용에 형평성 논란 여부 주목
부동산 급등 우려 속 서울시는 개발 접고, 현대차는 사업 허용

▲ 현대차그룹의 정몽구 회장(앞쪽)과 정의선 부회장. /사진=뉴시스

[초이스경제 임민희 기자] 최근 정부가 현대자동차그룹의 '통합사옥' 건립을 사실상 허용키로 하면서 형평성 논란이 일고 있다.

부동산 급등 우려 때문에 박원순 서울시장의 용산·여의도 개발계획은 보류된 반면, 현대차가 서울 강남구 삼성동에 추진 중인 글로벌비즈니스센터(105층) 건립사업은 지원키로 했기 때문이다.

1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17일 확대경제장관 회의를 열고 현대차의 글로벌비즈니스센터(GBC)에 대한 수도권 정비위원회 심의를 내년 1월 마무리하고, 내년 상반기 중에 착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이로써 현대차는 숙원사업인 통합사옥 건립에 박차를 가할 수 있게 됐으며, 이르면 2023년 말에는 완공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는 최근 개발계획이 좌초된 서울시 상황과 대조된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지난 7월 싱가포르에서 기자들에게 여의도와 용산 개발구상을 밝혔다가 서울지역의 부동산 가격이 급등하자 한달여만에 개발계획을 전면 보류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자료에 따르면 박 시장이 여의도·용산 개발계획을 발표한 후 두 지역의 집값은 호당 1억원 정도 올랐고, 강남·강북 집값도 폭등했다.

박 시장이 개발계획을 접은 데는 부동산 시장을 안정시키려는 정부의 의중이 반영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많다. 실제로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은 "서울시의 개발계획으로 부동산시장이 과열될 수 있다"며 "중앙정부와 협의 없는 개발계획은 현실성이 없다"고 우려를 나타낸 바 있다. 결국 박 시장은 8월 26일 기자회견을 열고 "여의도·용산 마스터플랜 발표와 추진은 주택시장이 안정화할 때까지 보류하겠다"며 한발 물러섰다.

정부가 부동산 가격 안정을 위해 대출규제 강화 등의 각종 대책을 내놓고 있는 상황에서 박 시장의 섣부른 개발계획 발표로 인해 부동산 시장의 혼란만 가중시켰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반면 현대차는 지난 2014년 삼성동 한전부지를 10조5500억원에 매입하고 이에 대한 대규모 개발계획을 내놓으면서 서울 강남지역의 부동산 가격 상승을 부추겼다는 지적을 받았음에도 4년 만에 통합사옥 설립을 추진할 수 있게 됐다.

일각에선 정부가 '경제활성화'를 위해 다앙한 기업 지원책을 내놓는 것은 바람직하지만, 여러 논란이 제기되는 기업의 부동산 관련 사업까지 허용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는 지적을 내놓고 있다.

 

 

저작권자 © 초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