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중은행 딜링룸의 모습. /사진=뉴시스.


[초이스경제 장경순 기자] 서울 외환시장은 한 때 당국의 시장개입이 만성화됐다는 지적을 받았다.

1997년 외환위기와 2008년 국제 금융위기 무렵 서울 외환시장에는 ‘환율 가이드라인’이 있다는 풍자도 있었다.

미국이 한국 중국 등 교역상대국들의 ‘환율 조작’ 여부를 더욱 철저하게 감시하면서 이는 더욱 예민한 문제가 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당국의 개입이 설 자리가 저절로 없어지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정미영 삼성선물 센터장은 25일 본지가 서울 명동 뱅커스클럽에서 주최한 세미나에서 ‘외환수급 구조변화의 양면성’이란 주제발표를 통해 “한국의 대외금융자산이 대외금융부채보다 많아지는 순금융자산국이 되고, 외국인자본의 성격이 장기안정자본이 되는 중요한 변화가 이뤄졌다”고 밝혔다.

외국인투자자금의 핫머니 비중이 낮아지는 등의 변화는 외환당국이 단기충격에 일일이 직접 대응해야 할 필요성을 낮췄다.

정 센터장은 경상수지 흑자도 구조변화가 나타났다고 밝혔다. 상품수지 의존도가 낮아지고 소득수지의 비중이 커지면서 흑자기조가 안정적이 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현지 직접투자를 통해 주식투자 수익이나 배당금 수익이 증가해, 상품수지가 둔화돼도 경상수지 흑자를 보충하는 결과가 되고 있다고 정 센터장은 밝혔다.

국내에서도 외국인들의 안정적 투자행태가 확대되고 있다. 과거에는 주식시장의 한 때 수익을 기대하고 들어왔다가 투자회수와 함께 떠나는 경향을 보였지만, 현재는 원화계정으로 자금을 계속 보유하는 외국인이 늘어났다.

이같은 환경은 외환당국의 개입행태를 크게 바꿨다.

외환당국이 지난 3월 사상 처음으로 공개한 외환시장 개입내역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에는 2억 달러의 외화를 매도했다. 미국이 경계하는 인위적 환율조작과는 반대였던 것이다. 미국은 한국과 중국, 독일 등 교역상대국들이 미국달러를 사들여 자국통화가치를 절하시키면서 수출품의 가격경쟁력을 높이는 것을 경계하고 있다.

정미영 센터장은 “국민연금의 해외투자가 2006년 19조 원에서 2023년 450조 원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며 “국민연금이 시장에 충격을 주지 않는 방법을 마련하겠지만, 이에 따른 달러 수요가 외환시장의 개입과 같은 역할을 대신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초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