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스트리트저널 "금리민감 산업 비중 감소, 주택경기 활성화에도 한계 있어"

미국 달러. /사진=뉴시스
미국 달러. /사진=뉴시스

[초이스경제 이영란 기자] 글로벌 증시가 미국 연준(Fed, 연방준비제도)의 금리인하 이슈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연준은 18~19일(미국시간) 개최 예정인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에서 금리인하 관련 시그널을 발신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하지만 미국이 금리인하를 하더라도 실효성은 이전보다 미흡할 것이라고 외신이 전했다.

18일 국제금융센터 속보에 따르면 월스트리트저널은 17일(미국시간) "시장에서는 연준이 6월 FOMC에서 금리를 인하하지 않더라도 7월 성명서에서 신호를 발신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면서 "하지만 현재 미국 상황은  저금리 정책을 통해 경기부양을 모색하던 종전 상황과는 달라졌다"고 보도했다.

우선 노동시장에서 금리에 민감했던 산업의 비중이 저하됐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은 지적했다. 예를 들어 건설업과 제조업 비중은 전체 고용률 기준 1980년 25%에서 최근에는 13%까지 하락했다는 것이다. 캔자스 연은은 이에 따라 금리인하로 인한 해당 산업의 반등 효과도 미약할 것이라고 예측했다고 이 매체는 전했다.

주택시장의 구조 변화도 또 다른 이유로 꼽혔다. 과거 금리인하는 주택경기 활성화 등을 통해 성장을 견인했지만, 최근에는 1990년대에 비해 인구가 줄어든 가운데 주택판매도 저하되고 있다는 것이다. 저금리 대출로 소비지출을 유도할 수 있는 수단도 부족하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은 진단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일각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연준에 금리인하 압력을 넣는 것은 타당하지 못할 뿐아니라 관련 효과도 미약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로이터와 블룸버그는 모건스탠리의 분석을 이용해 "무역분쟁으로 인해 미국 경제가 하강국면으로 진입할 경우 2020년 초까지 제로금리 정책으로 회귀할 수 있다"면서 "10년물 국채금리는 1.75%까지 하락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국채금리 하락은 국채가격 상승을 의미한다.

저작권자 © 초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