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코 공대위 "일성 울산공장 매각 추진은 월권" vs 유암코 "회생계획안 따랐을 뿐"

키코공동대책위원회 등 9개 시민단체가 12일 기자회견을 열고 금융감독원에 키코를 사기사건으로 규정할 것을 촉구했다. /사진=임민희 기자
키코공동대책위원회 등 9개 시민단체가 지난 2월 금융감독원 앞에서 진행한 기자회견 모습. /사진=임민희 기자

[초이스경제 임민희 기자] 이달 예정된 금융감독원의 키코(KIKO·파생금융상품) 분쟁조정 결과를 앞두고 피해기업들과 은행들 간의 신경전이 가열되고 있다.

최근에는 키코 공동대책위원회(이하 키코 공대위)가 은행들이 연합자산관리(유암코)를 앞세워 키코 분쟁조정기업 중 하나인 일성하이스코를 공중분해하려 한다는 주장을 제기해 파장이 일었다. 반면 유암코 측은 "사실무근"이라며 관련 의혹을 부인한 상태다.

키코 공대위는 5일 "최근 은행들이 일성하이스코를 공중분해할 목적으로 일성 울산공장 매각을 추진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며 "약 3개월 전 유암코는 인수 희망자들까지 이끌고 공장을 방문했는데, 이는 사실상 일성 공장을 시장에 매물로 내놓은 것과 마찬가지"라고 주장했다.

유암코는 2009년 10월 농협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KEB하나은행, IBK기업은행, KB국민은행이 출자해 설립한 부실채권(NPL) 투자회사다. 현재 6개 은행과 산업은행, 수출입은행이 지분을 갖고 있다. 일성하이스코는 울산의 플랜트 업체로 2012년 기업회생절차 개시 후 2016년 유암코의 투자를 받아 지난해 법정관리를 졸업했다.

키코 공대위는 "지난해 일성은 4년 7개월 만에 법정관리를 졸업하고 이미 경영정상화에 들어갔으며, 대내외적으로 어려운 여건에서도 해외수주를 따낼 정도"라며 "그럼에도 유암코가 돌연 기존 입장을 뒤집고 일성 공장 매각에 나선 것은 은행들이 여론과 반대로 분쟁조정을 미루는 동시에 대리인인 유암코를 내세워 분쟁조정 대상을 한 개라도 줄이려는 속셈"이라고 비판했다.

이 단체는 "지난 2일 일본의 한국 화이트리스트 배제로 수출기업 보호가 더욱 절실한 때에 은행들은 오히려 수출을 선도하는 키코 피해기업들을 옥죄고 있는 것"이라며 "은행들은 권모술수를 멈추고 분쟁조정에 적극 협조하라"고 촉구했다.

하지만 유암코 측은 키코 공대위 주장에 대해 "전혀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다. 유암코 관계자는 "2016~2017년에 일성하이스코에 100억원의 신규자금을 투자했다"며 "최근에는 수주 물량이 늘어 필요한 운전자금 50억원을 추가 지원하기로 지난주에 내부절차를 거쳐 확정했고 곧 시행할 예정인데 이런 주장이 제기돼 황당하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일성하이스코와 관련해 은행들과 어떤 논의를 한 적도 없고 협의한 바도 없다"고 일축했다.

유암코 측은 일성 하이스코 울산공장 매각과 관련해서도 "법원에서 인가된 회생계획안에 이미 명시된 것으로, 향후 적정매수자가 나타난다면 매각할 수 있다"며 문제될 게 없다는 입장을 보였다. 유암코에 따르면 2016년 자금지원 당시 변경회생계획안을 채권단 동의를 얻어 가결했다. 변경회생계획안에는 울산공장이 당시 사업규모에 비춰볼 때 공장규모나 부채가 과도한 만큼 매각하고 적정 부지를 찾아서 공장을 이전하는 것이 재무구조개선에 도움이 된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는 게 유암코 측의 설명이다.

이에 대해 조붕구 키코공대위원장은 "유암코는 두달 전에 갑자기 일성에 유동성 지원을 끊는다는 압박을 해왔고, 한달 전부터는 키코 업무를 유암코 파견 임원에게 넘기라는 요구까지 하고 있다"며 "유암코가 경영권 보장을 5년간 하기로 하는 조건으로 투자한건데 월권을 하면서까지 멀쩡한 기업을 옥죄는 건 명백한 갑질"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금감원은 지난해 6월 일성하이스코, 재영솔루텍, 남화통상, 원글로벌 등 4개사로부터 키코 분쟁조정 신청을 받아 1년여간 조사 끝에 '불완전판매' 소지가 있다는 결론을 내렸지만, 은행들과 피해배상 비율 등을 놓고 절충점을 찾지 못해 분쟁조정위원회 안건 상정이 차일피일 미뤄지고 있다.

저작권자 © 초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