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관건은 '어려운 기술'이 아니라 '쓸 만한 기술'... 그걸 누가 결정하나

[최공필 박사, 초이스경제 장경순 기자] 삼성전자와 중국의 화웨이가 접히는 스마트폰, 즉 폴더블폰으로 새로운 시대를 열겠다는 경쟁을 벌이고 있다.

삼성전자가 단연 앞서는 면모를 과시하며 폴더블폰인 갤럭시 폴드를 먼저 시장에 내놓았다. 그 과정에 엄청난 소동도 있었다.

2019년 4월에 시제품을 내놓았다가 심각한 디자인 결함으로 "200만 원짜리 핫도그"라는 조롱까지 들었다. 시급히 제품을 회수해 9월에 개선된 제품을 다시 내놓았다.

전 세계 모든 '얼리 어댑터들'이 갤럭시 폴드의 허점을 잡기 위해 두 눈 부릅뜨고 덤벼들고 있지만 아직은 또 다시 큰 결함이 발견됐다는 얘기는 없다.

폴더블폰에서 밀린 중국 회사들은 샤오미가 최근 특이한 제품을 내놓았다. 앞뒤가 전부 화면으로 덮인 스마트폰이다. 앞서 화웨이가 공개한 폴더블폰과 형태가 비슷하다.

대단히 특이한 모양이 눈길을 끌고는 있지만, 국내 소비자들에게 맨 처음 나온 반응은 "어디를 잡으라는 거?"였다.

과연 뒤에도 있는 화면이 스마트폰 소비자들에게 얼마나 유용한 기능인지는 아직 미지수다.

샤오미가 최근 공개한 스마트폰 미 믹스 알파. 앞과 뒤가 모두 화면이다. /사진=샤오미 홈페이지 화면캡쳐.
샤오미가 최근 공개한 스마트폰 미 믹스 알파. 앞과 뒤가 모두 화면이다. /사진=샤오미 홈페이지 화면캡쳐.

기술적으로는 쉽지 않은 개발을 한 전문가들의 고난도 실력 과시를 호평할만하다. 피겨스케이팅에서는 관중들의 기준과 달리, 선수 본인에게 얼마나 힘든 기술인가를 알아보기 위해 심사위원들이 평가를 한다.

모든 과학의 기본이라고 할 수 있는 수학은 아무 의미도 없는 공식이나 이론을 만들기 위해 수학자들이 밤새 연구에 몰두한다. 이 수학이론은 나중에 공학이나 물리학에서 실용적 연구를 돕는 큰 밑거름이 될 수 있다.

앞뒤가 전부 화면인 스마트폰 기술도 이런 의미는 갖고 있을 것이다.

그러나 경제이윤 창출의 최일선에 있는 기업이 하는 일로서는 좀 뜬구름잡기 같은 면이 있다.

이것은 화웨이나 샤오미 뿐만 아니라 삼성에서도 엿보이는 점이다. 예전 갤럭시 제품들을 살 때부터 따라오는 무수한 앱들은 과연 어디에 쓰라는 것인지 알기도 전에 새 전화기를 살 때가 된다.

쓸 일도 없는 기술에 많은 인력과 자원이 들어갔다.

이들의 최대 경쟁자 애플은 이렇게 쓸모가 불확실한 일에 고난도 기술을 부리는 것과는 좀 다른 분위기다. 뭔가 힘을 뺀 듯한 상태에서 상당히 짭잘한 변화를 가져왔다. 이것을 지금은 스티브 잡스의 '혁신'으로도 부른다.

2012년 애플이 삼성전자에 대해 특허소송을 제기한 것은 스마트폰의 둥근 사각과 손가락으로 화면을 확대 축소하는 줌인 줌업과 같은 것들이었다. 만들려고만 하면 기술적으로 아무 문제도 안 될 것들이었다. 그러나 그걸 그렇게 만들면 좋겠다는 생각을 가장 먼저 애플이 했고 그것이 나중에는 혁신의 하나로 평가됐다.

이 사례를 보면, 아시아 기업들에는 너무 착실하고 공부 잘 한 사람들만 있는 건 아니냐는 의구심도 갖게 된다. 어려서부터 아침 일찍 일어나 좋은 학교에서 알차게 공부하고 규칙적인 운동을 해 심신이 건강한 사람들만 있으면, 일어나지도 않고 누워서 스마트폰만 만지작거리며 빈둥거리는 사람들이 흔히 느끼는 아쉬운 점을 알기 어렵다.

다시 말해, 생각하는 방향이 몇 가지 정형화된 형태로만 집중되고 있다는 것이다.

새로운 시대를 정착시킬 만큼 대중적 기반을 가진 욕구를 파악하려면 대중들의 감정체계로 들어가는 방법밖에 없다.

경제개발의 초기단계에서는 뭐든지 많이 만들기만 하면 돈이 됐으니 사람들에 대한 획일적 관리가 경제성장으로 이어지기 쉬웠다.

하지만 지금은 많이 만들기만 하고 쓸모가 없으면 재고공간의 부담이 더 커지는 단계다. 그 시간과 자원으로 다른 걸 만들지 못한데서 비롯되는 피해는 더욱 크다.

지금 우리에게 뭐가 필요한지 그걸 판단하고 결정하는 주체가 달라져야 한다는 얘기다.

예전에는 엘리트 관료들이 중심이 돼서 그런 판단을 했다. 성장의 초기단계에서 부정할 수 없는 커다란 성과를 남겼다.

그러나 지금은 그 역할이 대중들에게 넘어갔다. 이걸 억지로 예전의 '경제개발 5개년 계획' 구도에 붙들어 매려고 하면 안 된다.

앞으로 경제성장의 기반이 더 많은 '참여'를 통해 가능해지는 속성을 통찰해야 한다.

 

저작권자 © 초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