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계 "긍정 분위기 속, 美 금리인하 여력 줄어들 수도...中 경제지표 등 살펴야"

주가를 살펴보는 증권사 직원. /사진=뉴시스
주가를 살펴보는 증권사 직원. /사진=뉴시스

[초이스경제 이영란 기자] 미-중 고위급 무역협상이 부분 합의라는 성과를 이끌어내면서 이번 주(14~18일) 국내 증시가 어떤 모습을 보일지 주목된다. 최근 한국증시를 비롯한 글로벌 증시는 미-중 무역협상이라는 대형 이벤트 변수에 따라 흐름이 달라지는 모습을 보여왔다.

13일 미국 CNBC와 증권계에 따르면 금주 국내증시의 향방을 미리 엿볼 수도 있는 뉴욕증시는 11일(미국시간) 우량주 중심의 다우존스 지수(+1.21%)를 비롯해 대형주 위주의 S&P500 지수(+1.09%),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1.34%) 등 3대 지수가 일제히 뛰어올랐다. 미-중 무역협상 부분 합의 소식이 뉴욕증시를 밀어올렸다.

CNBC는 같은 날 "미국과 중국이 미니딜을 이뤘다"면서 "미국이 중국산 수입품에 관세율 인상을 보류하고 중국은 미국산 농산물을 추가 구매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이번 협상에 따라 미국은 오는 15일 발효될 예정이던 2500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율 인상을 보류했다. 또 중국은 400억~500억 달러 규모의 미국산 농산물을 구매하는 데 동의했다.

미-중 부분합의 소식에 뉴욕증시가 뛰어올랐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미국 측이 요구하는 빅딜까지는 갈 길이 멀다는 진단을 내놓는 등 불투명한 부분이 남은 것으로 전해진다.

국내 증권계는 미-중 무역협상 부분 합의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 국내 기업들의 실적,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 등에 주목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김용구 하나금융투자 연구위원은 "글로벌 정치 불확실성이 해빙으로 전환하면서 금융시장 내 위험선호심리가 부활할 가능성이 커졌다"면서도 "10월 연준(연방준비제도, Fed) 금리인하를 포함한 정책대응 여력은 일정수준의 후퇴가 불가피할 수도 있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반면 윤영교 케이프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미국 경제지표 부진으로 10월 연준 금리인하 단행 가능성이 엿보인다"고 밝혔다. 부동산 지표를 제외한 물가, 기업심리, 소비심리 등 미국의 주요 데이터가 둔화 기조로 접어들었으며 미국 기업들의 3분기 감익 우려도 확대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같은 지표 부진으로 연준의 연내 금리인하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삼성전자와 LG전자의 잇따른 어닝 서프라이즈로 3분기 실적 시즌 기대감이 다시 높아지는 상황"이라며 "특히 국내 주력업종인 전기전자 업종의 턴어라운드 기대감이 높아졌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투자전략으로는 미국과 중국 경제지표 부진 등의 리스크를 감안해 반도체 등 실적 개선주를 중심으로 대응하는 전략을 추천했다.

김병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국내기업 실적과 관련해 "코스피 기업들의 3분기 영업이익과 순이익 전망치는 각각 34.6조원과 24.1조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4%와 -35% 감익이 예상된다"면서도 "실적 컨센서스(증권사 추정치 평균) 하향 폭은 감소 중"이라고 밝혔다. S&P500 기준 미국 기업들의 3분기 EPS(주당순이익)도 서프라이즈 확률이 높다는 점에서 예상보다 양호할 것으로 내다봤다.

한대훈 SK증권 연구원도 "삼성전자의 3분기 잠정실적이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등 국내 기업의 실적추정치 하향조정의 마무리 국면"이라고 전했다. 또한 "반도체를 비롯한 IT 경기도 호전되고 있으며 IT 제품에 대한 투자, 고용, 산업생산 및 출하 등도 상승추세라는 점이 긍정적"이라고 밝혔다.

그런가 하면 김유미 키움증권 연구원은 "이번 주 중에 예정된 한국은행의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추가로 인하할지 여부를 지켜봐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그는 "한은의 경제전망 발표가 11월에 예정되어 있으나 올해 전망했던 2.2%의 성장이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해 선제적으로 금리를 낮출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다.

한편, 금주에는 중국의 실물 경제지표 발표가 예정되어 있다. 중국 3분기 GDP는 6.1%로 예상돼 컨센서스를 밑돌 가능성이 있으며 수출 증가율도 마이너스 확대 가능성이 제기된다. 중국 경제지표가 부진할 경우 중국 정부가 어떤 부양책을 내놓을 지도 관심사라고 전문가들은 진단했다.

저작권자 © 초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