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주요 기관들이 우크라이나 사태와 관련해 여전히 맘을 놓아선 안된다고 충고해 눈길을 끌고 있다.

5일(미국시각) 주요 외신에 따르면 이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우크라이나 사태와 관련한 노이즈가 여전히 살아있다”고 보도했다. 군사적 위기는 줄었으나 채무리스크가 우크라이나를 덮치고 있다는 게 이 신문의 주장이다. 이 신문은 “우크라이나의 경우 올해 대규모 채무 만기가 돌아온다”면서 “이것이 우크라이나 사태를 계속 악화시킬 소지가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UBS는 “우크라이나의 잠재 리스크가 여전하다”면서 “시장이 이런 리스크를 과소평가해선 안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우크라이나 사태는 장기간 이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런 가운데 미국과 유럽이 우크라이나에 어떤 식으로 대규모 자금을 지원할 수 있을 것인가도 주목된다. 
 
유럽연합(EU)의 호세 바로주 위원장은 이날 "110억 유로에 달하는 자금을 향후 수년간 우크라이나에 제공하겠다"고 밝힌 상태다. 그러나 단기 자금 공급에 대한 언급은 그 어디에도 없다. 아울러 그 많은 돈을 어떻게 조달하겠다는 것인지도 밝히지 않았다. 
 
국제통화기금(IMF)도 우크라이나 지원에 나서겠다고 큰소리 쳤지만 향후 2년 동안 약 350억 달러에 달하는 우크라이나의 재정 수요를 그들이 감당해 낼 수 있을지는 여전히 의문이다.
 
게다가 EU가 110억 유로를 우크라이나에 지원할 경우 현재 남유럽 위기국과의 형평성 문제도 대두될 전망이다. 키프로스, 그리스, 포루투갈 등 유로존 회원국 지원도 못하는 유럽연합이 회원국도 아닌 우크라이나에 그 많은 돈을 댈 경우 유로존 회원국들의 불만이 고조될 전망이다. 
 
그 뿐 아니다. IMF 등이 가혹한 요구조건을 내세우며 우크라이나에 자금지원을 할 경우 우크라이나의 반발도 예상된다. 우크라이나 사태가 이제 시작에 불과하다는 주장이 고개를 들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저작권자 © 초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