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가 올 성장률 목표 7.5%를 제시한 것과 관련해 우려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개혁이 더 중요한 상황에서 질적 성장 보다는 양적 성장을 중시하는 쪽으로 다시 방향을 회귀한 측면이 있기 때문이다.
 
5일(미국시각) 뉴욕시장에 따르면 이날 월가에서는 중국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적지 않았다. 
 
특히 프랑스 크레디아크리콜의 대리어스 코왈직은 “중국이 올해 성장률 목표치를 7.5%로 잡음으로써 통화완화 또는 재정완화가 불가피해졌다”고 지적했다. 코왈직은 이어 “중국은 이같은 높은 성장률을 유지하기 위해 국영은행 대출을 늘리는 것은 물론 2~3분기중 인프라 확장을 지속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현재 GDP(국내총생산) 대비 225%에 이르는 중국의 막대한 부채규모를 감안할 때 이를 적절히 통제하지 않으면 큰 일”이라고 꼬집었다. 
 
S&P(스탠다드 앤 푸어스)도 중국 기업들이 회사채를 통해 조달한 자금규모가 작년말 현재 12조달러(72조위안)에 달한다며 우려를 표명했다. 중국 기업의 총 부채 규모를 감안하면 이들의 티폴트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다. 아울러 부채가 심각한 업체들이 디폴트를 낼 경우 그 파장 또한 커질 것이라는 게 S&P의 진단이다. 기업들의 회사채 신규발행이나 차환발행이 어려움을 겪는 것은 물론 이재상품과 신탁상품으로까지 불똥이 튈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런 상황에서 중국이 성장정책을 지속할 경우 기업들의 부채개선도 요원해질 전망이다. 
 
한편 톰슨로이터에 따르면 2008년 12월부터 지난해 9월까지 945개 상장기업의 총 부채는 1조8200억 위안에서 4조7400억 위안으로 급팽창했다. 5년 새 260%나 폭증한 것이다.
 
중국의 개혁이 시급한 이유다. 하지만 상황이 이런데도 중국 당국이 이번 전인대 회의를 통해 7.5%의 높은 성장 목표를 제시, 자칫 시진핑 정부의 개혁의지가 후퇴하는 것은 아닌지에 대한 의문이 커지고 있다.
 
실제로 전날 크레딧 스위스가 “지금 진짜 위험한 곳은 우크라이나가 아니라 중국이다”고 말한 것이나 월스트리트저널이 “중국의 경우 성장률을 높게 잡아도 고민이다”고 보도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저작권자 © 초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