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일자리 26만명 증가...뉴욕증시 3대지수 급등
15일 관세 추가시행 앞두고 미-중 합의 기대감도 이어져

뉴욕증권거래소 직원. /사진=AP, 뉴시스.
뉴욕증권거래소 직원. /사진=AP, 뉴시스.

[초이스경제 이영란 기자] 6일(미국시각) 뉴욕증시 3대 지수가 일제히 환호했다. 11월 비농업부문 고용지표가 예상치를 크게 웃돌았다는 소식이 호재로 작용했다. 오는 15일 미국의 중국 수입품에 대한 추가관세 시행을 앞두고 1단계 합의가 임박했다는 백악관의 발언도 지수 오름세를 거들었다.

뉴욕증권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우량주 중시의 다우존스 지수는 337.27포인트(1.22%) 뛰어오른 2만8015.06를 기록했다. 대형주 중심의 S&P 지수는 28.48포인트(0.91%) 상승한 3145.91에 마감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85.83포인트(1.00%) 오른 8656.53에 거래를 마쳤다. 또 중소형주 중심의 러셀2000 지수도 1633.84로 1.18% 상승했다.

이날 미국증시 개장 전 미국의 11월 고용지표가 크게 호전된 것으로 발표되며 지수를 밀어올렸다.

CNBC에 따르면 미국 노동부는 지난달 비농업 부문에서 26만6000명의 일자리가 늘었다고 밝혔다. 전문가 예상치인 18만7000명 증가를 크게 웃돌았다. 11월 실업률도 1969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인 3.5%로 하락했다. 시간당 임금 상승률도 전년 대비 3.1%를 기록하며 시장 예상치(3.0% 상승)보다 높았다. 또 최근 경기상황이 부진한 제조업 일자리도 5만개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고용지표가 발표되자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엄청난 고용 수치"라며 감탄을 표시하기도 했다.

미-중 무역협상 기대감도 이어지고 있다. 래리 커들로 미국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 위원장은 이날 CNBC와의 인터뷰에서 "미-중 무역합의가 훨씬 가까워졌다"고 밝혔다. 중국 재정부는 미국산 일부 대두와 돼지고기에 대한 수입관세를 면제할 것이라고 긍정적인 제스처를 취하기도 했다.

이 같은 소식이 미국증시 투자심리에 긍정적으로 상승하며 3대 지수가 일제히 올랐다. 섹터별로 보면 유틸리티가 0.21% 하락한 것을 제외하고 건설(0.56%), 자동차(1.20%), 보험(1.07%), 화학(1.27%), 금융(0.26%), 바이오(1.10%), 컴퓨터(1.27%) 등 대부분의 섹터가 상승했다.

종목별로는 지수 흐름에 민감한 FAANG(페이스북, 아마존, 애플, 넷플릭스, 구글의 모기업 알파벳) 종목이 활짝 웃었다. 페이스북이 0.85% 상승한 것을 비롯해 아마존(0.64%), 애플(1.93%), 넷플릭스(1.48%), 알파벳A(0.94%) 등이 일제히 올랐다.

중국과의 관계에 민감한 반도체 업종은 껑충 뛰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가 1.56% 상승한 가운데 마이크론이 2.81% 급등했다. 브로드컴(1.56%),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스(1.36%), 엔비디아(1.64%), 웨스턴디지털(3.57%), 자일링스(1.31%), 텍사스인스트루먼트(1.35%) 등이 오름세를 이어갔다.

소프트웨어 업종에서도 마이크로소프트가 1.21% 상승한 것을 비롯해 어도비시스템(1.06%), 핀터레스트(1.74%) 등이 올랐다. 반면 우버는 2.76% 하락했다. 인터넷 업종 가운데서는 알리바바(0.95%), 이베이(0.20%), 트위터(0.50%) 등이 상승했다.

컴퓨터 업종에서는 휴렛팩커드가 0.89% 상승했고 IBM도 0.98% 올랐다. 이밖에 컴캐스트(0.45%), 퀄컴(1.50%) 등도 오름세로 마쳤다.

자동차 업종도 좋은 흐름을 보였다. 업종 지수가 1.20% 상승한 가운데 제너럴모터스(0.65%), 제네럴일렉트릭(2.87%), 테슬라(1.67%), 포드(0.90%) 등이 올랐다.

바이오 업종에서는 바이오젠이 0.29% 상승하며 전날의 오름세를 이어갔다. 암젠(0.15%), 질레드사이언스(1.74%) 등도 올랐다. 제약업종에서는 머크&컴퍼니(0.10%), 아스트라제네카(0.13%), 존슨앤존슨(0.59%) 등이 오름세로 마쳤다.

소매업종에서도 리바이스(1.40%), 메이시스(0.26%), 베스트바이(2.15%), 월마트(0.74%) 등이 올랐다. 소비재 업종 중에서는 스타벅스(2.21%)를 비롯해 코스트코(0.63%), 코카콜라(0.42%) 등이 상승했다. 반면 P&G는 0.35% 하락 마감했다.

저작권자 © 초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