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영언론 타스 "극동 전권대사와 홍남기 부총리 논의"

[초이스경제 장경순 기자] 한국이 옛 소련에 빌려준 돈 가운데 미상환금액에 대해 러시아가 헬리콥터 현물 상환에 대한 운을 떼기 시작했다.

러시아 관영언론 타스의 28일(러시아시간) 보도에 따르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극동 전권대사인 유리 트루트네프 부총리와 홍남기 경제부총리가 이같은 방안에 대해 27일 영상회의에서 논의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유리 트루트네프 러시아 극동 전권대사와 27일 영상회의를 갖고 있다. /사진=뉴시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유리 트루트네프 러시아 극동 전권대사와 27일 영상회의를 갖고 있다. /사진=뉴시스.

트루트네프 부총리는 성명서를 통해 "러시아의 회전날개항공기를 부채상환을 위해 한국에 제공하는 문제가 논의됐다. 알렉산데르 모로조프 산업통상차관에 따르면 JSC 러시아 헬리콥터가 한국과 협력하는데 관심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타스는 앞서 한국 국토교통부가 러시아산 민간용 헬리콥터인 Mi-171A2 사용을 승인했으며 러시아산 Ka-32와 Mi8/17이 한국에서 활용되고 있다고 전했다.

국내에서는 차관의 현물상환으로 러시아 헬기를 받아오면 부품비용 등이 헬기 가격 이상으로 든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러시아는 돈 안들이고 빚을 갚으면서 부품판매 이익을 얻는다는 것이다.

한국은 1988년 서울올림픽을 개최한 후 1990년대 들어 북방외교에 총력을 기울였다. 소련과 중국 등 공산권국가들과 외교관계 수립에 나섰던 것이다.

노태우 당시 대통령은 1990년 6월 미하일 고르바초프 소련 공산당 서기장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사상 최초의 한소 정상회담을 가졌다. 이 정상회담은 북방외교의 기념비적인 사건이 됐고 같은 해 9월 두 나라는 외교관계를 맺었다. 다음해인 1991년 한국은 북한과 동시에 UN에 가입했고 1992년엔 중국과 수교했다.

소련에 대한 차관은 1990년 수교 이후에 이뤄진 것이다. 30억 달러 규모로 진행됐지만 1991년 군부 쿠데타를 진압한 직후 소련이 붕괴되는 과정에서 실제 집행은 15억 달러에 못 미치는 수준에 그쳤다.

소련 차관은 북방외교를 추진하는 동력의 하나로 실행된 것으로 경제적 가치 이상의 의미를 담은 것으로 평가된다.

저작권자 © 초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