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만수 산업은행장의 민영화에 대한 갈팡질팡 행보가 끝내 정치권으로부터의 맹렬한 비난을 자초한 가운데 방만한 자회사 관리에 대해서도 시급한 수술이 요구되고 있다.

 
곳곳에서 비자금을 조성해 수사를 받는 지경에 이르는데, 대주주인 산업은행의 관리는 기존 경영진에 손을 못대고 있다.
 
2010년 시장가격을 훨씬 웃도는 출혈을 감수하며 인수한 대우건설의 경우, 주인이 바뀌면 경영진을 물갈이하는 관행과 달리 서종욱 사장을 비롯한 기존 경영진을 재신임해 줬지만 대우건설은 최근 공시를 통해 “비자금 수사를 받고 있다”고 실토하는 지경이 됐다.
 
지난 6월 사장을 교체한 대우증권에서도 비자금 의혹이 제기되는 상황에서 기존 사장의 유임 전망이 만만치 않게 제기됐다가 끝내 김기범 신임 사장으로의 교체로 결론이 났었다.
 
금융계나 산업계 뿐만 아니라 정치권에서도 오래전부터 산업은행의 산업자회사 관리에 대한 우려가 팽배해있다. 산업은행이 부실기업을 인수해 구조조정 회사처럼 처신하는 것이 은행 본래 취지에 맞지 않을 뿐만 아니라 기업의 회생을 위해서도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산업이 금융자본을 지배하지 못하도록 막자는 것이 ‘금산분리’의 원칙이지만, 역으로 산업은행처럼 금융자본이 산업을 지배하는 것 또한 차단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새누리당의 이혜훈 최고위원은 “산금채만 발행하던 사람들이 해양이나 건설에 대해 무엇을 알겠는가”고 꼬집고 있다. 이 최고위원은 산업은행이 비금융 자회사에 퇴직한 은행 사람들을 고위 임원으로 내려 보내는 행태에 대해서 특히 강하게 비판했다.
 
또한 지난 5일에는 민병두 민주통합당 국회의원이 “강만수 행장이 산업은행 민영화를 반대한다면서 민영화 자금 2조6000억원을 세수로 잡아놓고는 또 한편으로 정부가 600억원의 추가 출자 안을 국회에 제출했다”며 은행 자체의 관리도 앞뒤가 맞지 않고 있다고 질타했다.
 
저작권자 © 초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