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은 민주화를 이룬 1990년대 이후 처음으로 임기내 탈당을 하지 않은 대통령으로 기록됐다. 그만큼 박근혜 당선인측과 이 대통령은 그 어느 때보다 돈독한 관계 속에 정권 인수 인계를 진행한다는 평가를 한 때 받고 있었다. 하지만 올들어 갑자기 양 측 관계를 급랭시키는 이슈들이 속출하면서 신구 정부간의 갈등 가능성이 급격히 고조되고 있다.

 
지난해 선거 직후만 해도 이명박 정부는 ‘뜨거운 감자’인 종교인 과세를 처리해 새 정부의 부담을 덜어주려고 할 정도로 정권재창출에 걸맞는 돈독한 모습을 과시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명박 대통령이 자신의 최측근에 대한 사면을 강행할 것이란 소식이 전해지면서 양 측간 갈등이 격화되기 시작했다.
 
또 4대강 부실이 이슈가 되면서 덩달아 박근혜 당선인에 대한 여론조사까지 악화되는 조짐도 나타났다. 이런 와중에 이명박 정부는 종교인 과세 문제를 차기 정부의 몫으로 넘기기로 방침을 바꿨다. 물러나는 마당에 굳이 험한 일을 자초하면서까지 협조할 생각이 없음을 비친 것이다.
 
신-구 정부의 갈등이 최고조에 달한 것은 택시법에 대한 이명박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다. 이에 대해서는 이한구 새누리당 원내대표가 나서 “국회를 무시하는 발상”이라며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박근혜 정부의 초대 경제부총리로 유력 거론되는 인물이 직접 구 정권에 대해 포문을 연 것이다. 그는 “야당이 재의결을 요청하면 수용하겠다”고 까지 밝혔다.
 
최근의 여론흐름에서는 4대강 등 이명박 정부의 실정이 드러날 때마다 박 당선인의 지지율까지 깎아먹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는 새 정부 출범 후, 민심 장악이 필요해 질 때마다 ‘MB 심판’ 카드가 부상할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순환출자와 같은 ‘형이상학적’인 문제보다 사람의 과오에 대한 심판은 민심의 반응을 더 빨리 끌어올리기 때문이다. 노태우 정부의 ‘5공 비리 심판’, 김영삼 정부의 ‘역사 바로 세우기’를 통한 5.18 쿠데타 단죄 등이 이에 해당하는 사례다. 이 때마다 정권의 지지율이 급격히 올라가는 현상을 보였다.
 
이명박 정부 5년동안, 금융, 문화, 공공기관 등 곳곳에 포진한 무수한 ‘MB맨’들의 신상에도 중대한 변화를 예고하는 대목이다. ‘고소영’ ‘강부자’ 등으로 대변되는 인사난맥이 이명박 정부의 중대한 민심 이반 사유의 하나였다.
 
저작권자 © 초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