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 촉진·도시화 등 정부 추진 정책부터 살펴야

▲ 사진 출처=뉴시스

 

[초이스경제 김슬기 기자] 지난해 중국 1~8월 무역총액은 15조6700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7.7% 감소했으나, 수출(-1.6%)에 비해 수입(-14.6%)이 더 큰 폭으로 줄면서 무역수지는 2조2300억 위안 흑자를 기록했다.

이처럼 불황형 흑자 기조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대중 수출 규모가 25%에 이르는 우리나라에서 중국 수출 및 경기 둔화를 대비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14일 코트라 해외시장정보에 따르면 불황형 흑자가 지속되자, 중국 당국은 수출 경기 진작을 위해 지난해 8월 위안화 가치를 대폭 절하시켰다. 중국 거시경제 전문가들은 이 같은 조치가 3~6개월 후 효과를 나타낼 것이라고 예측하면서 4분기 이후 수출 금액이 증가할 것이란 전망을 내놓고 있다.

그러나 수입의 경우 지난해 8월 철광석, 원유, 석탄 등 원자재 수입액이 전년동기 대비 평균 40% 가까이 감소하면서 낙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원자재 품목 가격 하락세는 지난해 3분기 이후 더욱 심화되고 있으며, 세계 경기 불황에 따른 시장 수요 부진에 따라 당분간 저가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강민주 무역관은 "위안화 추가 평가절하 가능성은 중국의 대외 수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며 "내수 경기 역시 쉽게 회복될 것으로 보이지 않는 점이 수입 경기를 더욱 짓누르고 있다"고 설명했다.

중국 수출 부진으로 신흥국은 더욱 큰 타격을 받고 있다. 아시아·중남미 등 신흥국의 경우 중국에 원자재를 수출하거나 원자재, 중간재 수출 후 중국에서 최종 가공해 제 3국으로 수출하는 무역 비중이 높기 때문이다. 또한 중국 내부 차원의 산업 구조조정과 부동산 조정 정책 등도 원자재에 대한 수요 감소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수출입 경기 회복을 위해 재정, 화폐, 인프라 건설이라는 3가지 수단을 통한 성장 도모를 강조했다. 최근 중국 재정부가 발표한 정책에는 PPP(민관자본협력모델) 확대를 통한 사회자본 투입, 지방채 관리 규범화, 재정개혁 심화 등을 주요 골자로 하고 있다.

강 무역관은 "중국 수출 및 경기 둔화 장기화에 대비하기 위해 단기적으로는 중국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내수시장 확대, 전자상거래 지원 정책 등 소비 촉진 정책에 발맞춰 중산층을 겨냥한 소비재 품목 위주의 수출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중장기적으로는 중국 도시화 정책에 따라 중산층의 구매력 확대, 도시 정보네트워크 사업으로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관련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이란 전망도 제기됐다.

또한 "중국 서부와 중앙아시아 유럽 물류망을 연결하는 육상 실크로드와 중국 남부와 동남아·유럽을 잇는 해상 실크로드 연결 전략인 ‘일대일로 정책’을 통해 교통, 항만, 에너지, 운송, 통신 등 기초 인프라 투자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2025년까지 독일·일본 수준의 제조업 선진국이 되는 것을 목표로 산업 구조조정 정책에 박차를 가하고 IT-제조업 간 융합을 꾀하고 있어 중국 내 주요 제조업 기업과 협력을 통한 시장 진입 기회를 모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초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