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성장 시기 기업들에는 신입 직원 교육비도 부담

▲ 사진 출처=뉴시스

 

[초이스경제 김슬기 기자] 경제 저성장 기조가 장기화 되면서 올해 고용 활력이 지난해보다 낮아질 것이란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노후 준비 부족으로 은퇴 후에도 노동시장에 남으려는 사람이 늘고 정년 60세 연장법이 시행되는 등 은퇴 연령층의 취업자 수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 청년층의 고용 충격이 더욱 우려되는 상황이다.

19일 LG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2% 중후반대 경제성장률에도 취업자 증가 수는 30만 명 이상을 기록했으며 고용률 60%, 경제활동참가율 62.6%로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 그러나 이는 기업들의 채용 확대보다 자영업·창업 등의 증가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고용노동부 채용계획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부터 올해 1분기까지 채용계획 인원이 전년동기 대비 0.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분야별로는 제조업, 금융 서비스, 교육, 사회복지 서비스업에서 규모별로는 300인 미만 기업에서 채용계획이 부진한 것으로 전해진다.

특히 자동차, 음식료업 등 제조업계 고용 상황은 나아졌지만 매출 부진으로 추가적인 고용 가능성이 높지 않은 상태며 도소매, 음식, 숙박 등 서비스 부문의 경우 고용 둔화 추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LG경제연구원 측은 교육 서비스, 보건 및 사회복지 서비스에서도 임금 인상 등 질적 개선 요구가 높아지면서 일자리 수 증가 추세가 주춤해질 것으로 내다봤다.

이같은 고용 상황 악화로 인해 청년층은 올해도 취업난에서 벗어나지 못할 전망이다. 지난해 15~29세 청년층 연평균 실업률이 9.2%를 기록했다. 휴학이나 취업준비 등으로 취업을 미뤄왔던 청년들이 저성장 국면으로 취업 기간이 길어져 구직에 본격적으로 나서면서 실업률이 증가했다.

강중구 연구원은 "청년실업률 증가 추세는 올해도 이어질 전망이다"며 "청년고용은 경제의 장기적인 성장 기대에 의해 결정되는데, 미래 사업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기업들이 직무 경험이 없는 청년을 교육시키는 것에 대한 부담을 감수하기보다는 '경력자'를 선호할 가능성이 높아진 데 따른 것이다"고 설명했다.

한편 지난해 베이비 부머 세대가 속해있는 연령층(55~64세)의 취업자 증가 수는 지난해 약 37만 명을 기록하며 타 연령층 대비 가장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 이는 노후에 대한 준비가 부족해 노동시장에 남아 경제 생활을 이어가려는 사람들이 늘어난 데 따른 것이다. 더욱이 올해부터는 정년 60세 연장법이 시행되면서, 기업들의 인건비 부담과 기업 신규채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경우 세대 간 갈등까지 키울 것이란 우려도 제기된다.

강 연구원은 "저성장 시기에 청년고용 문제를 시장에만 맡길 경우 과소 고용에 놓일 가능성이 크다"면서 "은퇴 연령층 역시 노동시장 잔류를 지원해야 하지만, 이것이 청년층의 고용 충격으로 이어지지 않으려면 정년 연장과 함께 임금피크제 등의 대책들이 적극 시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노동시장 유연화를 높이는 동시에 세대 간, 근로자 집단 사이에 차별이 있어서는 안된다"며 "노동시장 보호가 기존 일자리에 집중돼 있는 상황에서, 노동시장 유연화는 오히려 청년층의 고용 불안정성을 높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고 덧붙였다.

이와 더불어 "고용정책만으로는 근본적인 해결이 힘들고, 규제완화 등을 통한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초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