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배 주소 틀리면 택배근로자-수령인 모두 고통

[초이스경제 최원석 경제칼럼] 코로나19 여파 등으로 택배 물량이 늘면서 택배업계 근로자들 근무여건 개선 문제가 아주 중요해진 요즘이다. 택배 근로자들이 과로로 큰 고통을 당하고 있다는 뉴스가 최근 들어 더 많이 부각된다. 관계 당국과 관련 택배회사들은 서둘러 근로자 보호 대책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택배회사 근로자들의 과로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택배 보내는 사람이나 기업이 할 일도 있다. 택배를 보낼 때 최소한 받는 고객의 주소만이라도 확인해야 한다는 점이다.  

기자는 지난 5월 이사했다. 지난 9월 말 추석 명절을 앞두고 택배가 직전 주소지로 잘못 배달되는 사례를 여러번 경험했다. 택배회사 근로자는 "(엉뚱한 주소지로 물건이 잘못 갔는데도) 물건 잘 도착했다"는 문자를 보내온다. 당하는 쪽은 택배 받는 사람이다. 택배회사 근로자한테 '물건 잘못된 곳으로 갔다'고 해 봐야 별 소용이 없다. 너무 바빠서인지 어느 택배회사 근로자는 긴 통화를 하기조차 부담스러워 했다. 택배회사 근로자에게 '잘못된 주소지로 배달됐으니 반송조치 해 달라'는 요구도 해 봤지만 말로만 알았다고 하고 이행하지 않는 경우도 경험했다. 뾰족한 대책이 없어 잘못 배달될 때마다 이전 주소지로 물건을 찾으러 가야만 했다. 택배 보내는 쪽에서 받는 사람 주소만 확인했더라도 택배회사 근로자와 잘못 배달된 물건 주인 사이의 번거로운 일은 없었을 것이다. 

서울 한 물류센터. /사진=뉴시스
서울 한 물류센터. /사진=뉴시스

추석 명절 이후에도 일부 택배 물건이 직전 주소지로 잘못 배달되는 고통은 이어졌다. 최근엔 어느 지인이 기자에게 제철과일을 보냈는데 직전 주소지로 배달돼 또 택배 스트레스를 겪어야 했다. 

택배회사 근로자들이 크게 힘든 시기다. 물건이 잘못된 주소지로 배달돼 고통 받는 수령자도 있다. 택배회사 근로자 중 일부는 제대로 된 반송조치도 해주지 않는다. 그럴 여유가 부족한 것 같다. 그것이 오늘날 대한민국 택배 현장의 현실이다. 이는 최근 기자가 겪은 것들만 적은 것이다. 

기자는 강조하고 싶다. 그리고 부탁하고 싶다. 택배회사 근로자들의 과로 부담을 조금이라도 덜어주고 수령자를 난감하지 않게 하려면 택배 보낼 때 '주소 확인'만이라도 해 달라고 말이다.  

기자는 엉뚱한 곳으로 배달된 택배 소식을 들을 때 마다 택배회사 근로자보다 주소확인조차 하지 않고 보낸 쪽을 더 원망한다. 잘못된 주소지로 보낸 곳 중엔 대형은행, 공공기관도 포함돼 있다. 중견기업도 포함돼 있다. 

주소 확인조차 하지 않고 성의없는 택배를 보낼 거면 차라리 보내지 말라고 말하고 싶다. 엉뚱한 곳으로 택배 보내는 사람이나 기업, 그들은 택배회사 근로자도 힘들게 하고 택배 수령자도 힘들게 하는 원흉 들이다. 택배 잘 보내는 것도 보내는 쪽의 경쟁력이다. 고객을 소중히 여기는 쪽은 택배 하나 보낼 때도 정성을 다한다. 그러나 주소 확인조차 않고, 아니면 말고 식으로 택배 보내는 기업이나 사람은 고객으로부터 고마운 마음을 갖게 하기는커녕 원망만 듣게 될 것이다. 조그만 배려들이 모여질 때 우리 사회도 밝아질 것이다. 

저작권자 © 초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