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코로나19 이후 상장사 고용타격 분석
작년 상장사 직원 148.3만명, 코로나 이전 149.7만명에 못미쳐
작년, 매출액·영업이익·고용 '트리플 타격' 입은 곳 210개사
전경련 "불확실성 속 규제완화 등 고용 증대 대책 필요"

기사 내용과 무관함. /사진=뉴시스
기사 내용과 무관함. /사진=뉴시스

[초이스경제 최원석 기자]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는 17일 "코로나19 발생 이후 2년이 지난 2021년 기준 상장사 직원 수는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수준을 여전히 회복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글로벌 공급망 약화, 금리 인상 등 대외적 불확실성 가중으로 고용회복이 더뎌질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고 밝혔다. 

전경련은 따라서 기업들이 불확실성 속에서도 고용에 나설 수 있도록 규제완화 등 정부차원의 관련 대책을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경련에 따르면 2018~2021년 기준 비금융업 코스피·코스닥 상장사 1874개사의 직원 규모를 조사한 결과, 2021년 기준 상장사 10곳 중 4곳(43.1%, 808개사)은 전년도에 비해 직원 수가 줄었다. 직원이 감소한 기업의 비중은 코스닥 시장이 코스피 시장보다 다소 높았다. 지난해 직원 수가 감소한 기업은 코스피 시장의 경우 조사대상 696개사 중 294개사(42.2%) 였고, 코스닥 시장은 조사대상 1178개사 중 514개사(43.6%) 였다.

지난 3개년(2019~2021년) 직원 감소 상장사 규모를 분석한 결과, 2021년 직원 감소 상장사 비중은 43.1%(808개사)로 2020년 52.0%(974개사)보다 8.9%p(166개사 감소)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44.3%(830개사)와 비교할 경우 1.2%p(22개사 감소) 낮았다. 

전경련은 "지난해 직원 감소 상장사 규모가 2020년도에 비해 줄어든 것은 코로나19로 억눌렸던 수요 분출에 따른 기저효과, 비대면 업종 호황 등 실적 개선의 영향"이라고 분석했다.

하지만, 전체 상장사 직원 수를 보면 여전히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경련은 전했다. 지난해 상장사 직원 수는 148.3만명으로 2020년(146.9만명)보다는 1.4만명 늘었지만, 2019년(149.7만명)보다는 1.4만명 적은 수준이었다고 전경련은 덧붙였다. 

전경련은 "상장사 10곳 중 3곳(26.7%, 500개사)은 코로나19 본격 확산 이후 2년(2020~2021년) 연속 직원 수가 줄었고, 그 비중은 코스피 상장사(29.0%, 202개사)가 코스닥 상장사(25.3%, 298개사)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2년 연속 직원이 감소한 상장사 500개사의 직원 수는 2021년 기준 43.6만명으로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50.8만명)에 비해 7.2만명 감소했다고 전했다. 

전경련은 "기업들은 고용인원 감축을 경영위기를 극복하는 최후의 수단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500개 상장사 직원 수가 2년 연속 감소했다는 것은 그만큼 이들 기업의 경영사정이 매우 어려웠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분석했다.

전경련은 "지난해 상장사 10곳 중 1곳(11.2%, 210개사)은 직원 수뿐만 아니라 매출액과 영업이익도 동시에 감소하는 이른바 '3중고'를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그 비중은 코스닥 상장사(12.1%, 143개사)가 코스피 상장사(9.6%, 67개사)보다 높았다"고 전했다. 전경련은 "이들 상장사는 성장성과 수익성이 모두 악화된 경우이기 때문에 자칫 부실로 이어진다면 일자리 시장에 큰 부담이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지난해 상장사 총 직원 수가 늘어난 것은 팬데믹 충격에 따른 기저효과의 영향이 크기 때문에 아직 본격적인 고용시장의 훈풍이라고 판단하기에는 이르다"면서 "기업들이 불확실성을 극복하고 적극적으로 투자와 고용을 확대할 수 있도록 정부는 노동·산업 분야 규제 완화, 세제지원 확대 등 정책적 지원을 전개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초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