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연, 국가부채 비율과 신용등급 및 성장률 간 분석 
10년 후 국가부채 증가로 신용등급하락 전망
기업활력 제고로 경제성장률 높여 부채 관리해야
강력한 재정준칙 법제화 통한 부채 관리도 필요

원화 지폐. /사진=뉴시스
원화 지폐. /사진=뉴시스

[초이스경제 최원석 기자]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은 16일 "IMF(국제통화기금)는 우리나라 국가부채비율이 내년부터 2027년까지 연평균 2.81%씩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며 "이러한 속도로 국가부채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경우, 한국은 2032년~2033년 국가신용등급(무디스 기준)이 1단계 강등(현재 Aa2에서 Aa3로 한 단계 강등)되는 임계치에 도달하고 경제성장률은 0.58%p 낮아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경연은 따라서 이런 최악의 상황을 막으려면 국가부채를 적극 제어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경연은 이날 내놓은 '국가부채비율과 국가신용등급 및 성장률간 관계분석-시사점'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국가부채비율 1%p 상승시 국가신용점수 0.05점 하락

한경연은 "2014년∼2019년 중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36개국(포르투갈과 코스타리카 제외)자료를 이용해 국가부채비율과 경제성장률, 1인당 GDP(국내총생산), 물가상승률(GDP 디플레이터)이 국제신용평가사의 국가신용등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며 "그 결과, 국가부채비율이 1%p 상승할 경우 국가신용등급 점수(무디스 기준)는 0.049∼0.051점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전했다. 

한국, 2032∼2033년 국가신용등급 1단계 강등 우려

한경연은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이 한 단계 강등되는 '국가부채비율의 임계치'를 산출한 후, 내년부터 우리나라 국가부채비율이 연간 2.81%의 속도로 증가할 경우 임계치에 다다르는 시점을 추정했다"며 "계산 결과,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이 한 단계 하락하는 국가부채비율 임계치는 68.6%∼69.5%인 것으로 분석됐다"고 전했다. 또한 국가부채비율이 내년부터 연간 2.81%의 속도로 증가하면, 2032년과 2033년에 국가부채비율이 각각 68.7%와 70.6%가 되어, 국가신용등급(무디스 기준)이 한 단계 강등될 것으로 보인다고 한경연은 강조했다.

한국, 신용등급 1계단 강등 시 성장률 0.58%p 하락

한경연은 "우리나라 국가부채비율이 임계치에 도달해 국가신용등급이 한 단계 강등(무디스 기준, Aa2→Aa3)될 경우 경제성장률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했다"고 밝혔다. 또한 분석결과, 우리나라 국가신용등급이 한 단계 강등되는 경우 경제성장률은 0.58%p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경연은 덧붙였다. 한경연은 "이를 2021년 실질 GDP(1910.7조 원)에 기초하여 금액으로 환산하면, 11.1조원에 달한다"고 분석했다. 이는 우리나라 국가부채비율이 증가하여, 국가신용등급이 한 단계 하락하면, 매년 실질기준 11.1조원에 이르는 GDP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한경연은 강조했다. 

한국, 성장활력 높이고 재정준칙 법제화 필요

한경연은 "성장잠재력이 둔화되고 있는 가운데, 급속한 고령화에 따른 복지지출 확대와 사회보장성 급여 강화로 우리나라의 국가채무비율은 빠른 속도로 증가할 개연성이 높다"며 "국제신용평가사들은 이미 한국의 국가채무비율의 급증을 국가신용등급 압박 요인으로 언급한 바 있다"고 우려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국가부채비율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GDP를 증가시키고, 국가부채를 제어해야 한다"면서 "규제 완화, 세제 지원, 노동개혁, 반기업 정서 완화 등으로 기업의 경영활력을 높이는 한편, 엄격한 재정준칙을 법제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초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