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원자력 산업 밸류체인 주요 기업 대상 설문조사
국내 원전 경쟁력 탈원전 이전 대비 65% 수준
생태계 회복엔 약 3.9년 소요
원전기업 인력난 심화, 금리 인상 등 어려움 가중
전경련 "조속한 일감 공급 등 다양한 지원 필요"
전경련 "정부의 적극 지원 통한 생태계 회복 시급"

지난 4월 열린 국제 원자력(원전) 산업전. /사진=뉴시스
지난 4월 열린 국제 원자력(원전) 산업전. /사진=뉴시스

[초이스경제 최유림 기자] 전국경제인연합회(회장 허창수, 이하 전경련)에 따르면 국내 원자력 산업 경쟁력이 탈원전 이전에 비해 크게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경련은 25일 주요 70개 원자력 기업 대상 설문조사(31개 사 응답) 결과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전경련은 "원전 산업 재활성화를 위해 신속한 일감 공급과 금융부담 완화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탈원전 이전 대비 원전 경쟁력 65% 수준...생태계 회복 3.9년 소요

전경련에 따르면 국내 원자력 산업 경쟁력은 탈원전 이전 대비 65%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 수 기준으로는 응답 기업의 절반 이상(51.6%)이 탈원전 이전에 비해 원전산업 경쟁력이 30~40% 하락했다고 응답했으며, 20~30% 하락(22.6%), 10~20% 하락(6.5%),기타(19.4%)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전경련은 "기업들은 기존 원전 생태계 복구까지 약 3.9년이 소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고 전했다. 전경련은 "기업 수 기준으로는 응답 기업의 51.6%가 원전 생태계 회복에 2~4년이 소요될 것이라고 답했으며, 4년 이상 6년 미만(38.7%), 6년 이상 8년 미만(6.5%), 2년 미만(3.2%) 순으로 조사되었다"고 밝혔다.

전문인력 이탈...금리 상승세 속 대출 부담 완화 시급

전경련은 "원전 업계에서는 전문인력(35.7%)과 운영자금(30.4%)의 부족을 주요 애로사항으로 꼽았다"고 전했다.

한국원자력산업협회에 따르면, 2021년 원자력 관련 학과 재학생 수는 2165명으로 2017년(2777명) 대비 2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에 응답한 A사는 "최근 경력직원의 퇴사가 이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관련 학과 축소로 신입사원 충원이 어려워 인력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며 어려움을 토로했다고 전경련은 전했다.

또한 전경련은 "최근 시중 금리가 꾸준히 상승하고 있어 이자 및 차입금 상환 부담에 시달리고 있다는 의견도 눈에 띄었다"며 "그 외에 협력업체 사업 포기로 인한 공급망 악화(17.9%), 차세대 기술확보 수준 미흡(12.5%) 등도 애로요인으로 지적됐다"고 전했다.

전경련에 따르면 탈원전 정책으로 가장 크게 영향받은 분야는 사업성 저하로 인한 수익성 악화(54.8%)였고, 인력 이탈로 인한 전문성 약화(29.0%), R&D 중단 및 기술 수준 저하(9.7%), 밸류체인 경쟁력 악화(3.2%)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전경련은 "신규 채용 보조금 확대 등 인력 확충을 위한 유인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전경련은 "향후 경기침체 및 금리 상승세 지속이 전망되는 만큼 원전업계의 위기극복과 투자 재개를 위한 저금리 대출 지원, 이자 비용 부담 완화 등의 금융지원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업에 일감 공급 선행돼야

전경련에 따르면 기업들은 원전 생태계 회복을 위한 가장 시급한 과제로 '조속한 일감 공급(46.9%)'을 꼽았다.

원전 업계 관계자는 "현재 신한울 3, 4호기 건설 재개가 확정됐지만, 실제 수주를 통해 밸류체인으로 그 효과가 전파되기까지는 2~3년이 걸린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환경영향평가 절차 간소화를 통한 신한울 3, 4호기의 조기 착공 재개 등으로 원전업계에 일감을 빠르게 공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 외에도 "원전 착공 관련 인·허가 규제 개선(28.1%), 금융부담 완화(17.2%), 한계기업 지원(7.8%) 등이 필요하다"고 조사됐다고 전경련은 밝혔다.

또한 전경련은 "원전 산업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과제에 대해 분야별 전문인력 육성 지원(27.4%)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고 전했다. 전경련에 따르면 원자력 기술 및 제품의 국산화 완료(24.2%), 차세대 기술 확보를 위한 R&D 지원(19.4%)이 뒤를 이었으며 수출 지원정책 마련(16.1%), 산업 전반의 법·규제 개선(12.9%) 등의 의견도 뒤따랐다. 기타 의견으로 특구 지정을 통한 원전 산업 중심지 육성 등도 제안됐다.

한편 전경련 관계자는 "지난 7월 EU 택소노미에 원전이 친환경 에너지로 분류된 이후, 한국판 K-택소노미에도 원전의 친환경 에너지 포함이 확실시되고 있다"며 "향후 글로벌 원전산업의 높은 성장세로 수출 기회가 많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통한 원전 생태계 회복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초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