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연 "작년 한계기업 수 코로나 이전 대비 23.7%나 증가"
한계기업 종업원 수, 2019년 24.7만에서 작년 31.4만명으로 급증
2021년 거래소 한계기업 비중, 홍콩-한국-미국-중국-일본 順
사업재편-구조조정 가속 위해 기촉법과 기활법 상시화 돼야

[초이스경제 최유림 기자] 한국경제연구원(원장 권태신, 이하 한경연)은 13일 "2021년 한계기업 수가 코로나 이전인 2019년에 비해 23.7%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금리인상 기조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기업의 금융비용 부담 증가가 우리 경제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경연은 그러면서 "'기업구조조정 촉진법(이하 기촉법)'과 '기업 활력 제고를 위한 특별법(이하 기활법)'을 상시화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함께 제기됐다"고 덧붙였다. 

한경연은 인천대 김윤경 교수에게 의뢰한 '기업구조조정 제도 개선방안'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한계기업은 개별 기업의 문제를 넘어 정상기업의 인적, 물적 자원 활용을 제한하고 경제의 효율성을 감소시켜 국가 경제의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이어 "기업 구조조정의 속도를 높이고 사회적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구조조정제도를 설계하는 한편, 기활법 대상을 확대하여 사업재편을 활성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보고서는 아울러 "2017~2021년 기간 외감법(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의한 법률)을 적용받는 비금융기업 2만2388개사를 분석한 결과, 2021년 한계기업 수는 총 2823개사로 코로나 이전인 2019년 2283개사 대비 23.7%(540개)나 증가했다"면서 "한계기업에 종사하는 종업원 수는 2019년 24만7000명에서 2021년 31만4000 명으로 26.7%(6만7000 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서울 도심. /사진=뉴시스
서울 도심. /사진=뉴시스

기업규모별로 살펴보면, 한계기업 수는 중견 및 대기업이 2019년 389개사에서 2021년 449개사로 15.4% 증가했고, 중소기업은 1891개사에서 2372개사로 25.4% 늘어, 중소기업 내 한계기업의 증가세가 더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산업별로는 한계기업(2823개사) 중 제조업의 비중이 40.4%(1141개사)로 가장 높았다고 했다. 제조업 가운데에서는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내 한계기업의 수가 많다고 했다. 코로나 이전인 2019년 대비 2021년 한계기업의 증가율은 항공운송업(300%), 연료용 제외 비금속광물 광업(300%), 음식점 및 주점업(200%), 음료 제조업(200%), 가구 제조업(100%), 폐기물 수집운반, 처리 및 원료재생업(100%)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했다. 

보고서는 세계 주요 거래소인 미국 NYSE 및 나스닥(NASDAQ), 일본의 도쿄증권거래소(TSE), 홍콩증권거래소(HKSE), 중국의 상하이증권거래소(SHSE) 및 선전증권거래소(SZSE), 한국의 유가증권 상장사(KOSE) 및 코스닥(KOSDAQ)에서 거래되는 한계기업을 분석했다고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전체 기업 대비 한계기업의 비중은 홍콩증권거래소의 28.9%에 이어 두 번째인 17.1%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그 비중을 2017년과 비교했을 때, 증가세 역시 홍콩증권거래소에 이어 두 번째다. 이에 보고서는 "한계기업의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경계한다"면서 "부실의 만연화가 우려된다"고 했다. 

보고서는 '기업구조조정촉진법'과 '기업 활력 제고를 위한 특별법'을 개선하고 상시화하여 기업의 사업재편과 구조조정 활성화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통합도산법이 상시화된 데 비해, 부실징후기업의 워크아웃을 관할하는 기촉법과 사업재편을 지원하는 기활법은 한시법으로 각각 2023년과 2024년에 일몰 예정"이라며 "기촉법은 2001년 도입 이후 현행 제6차 기촉법에 이르기까지 연장, 일몰 이후 재입법을 반복하고 있으며, 기활법은 2016년 도입 이후 2019년에 5년 연장됐다"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기활법의 상시화는 윤석열 정부 120대 국정과제 중 하나로 포함되었으며 기촉법 역시 지속적으로 상시화가 논의되었으나, 입법이 본격화되지 않은만큼 제도적 불안정성이 크다"면서 "이에 정책 불확실성으로 기업의 구조조정 계획이 왜곡될 우려가 있는 만큼 입법 논의가 신속히 시작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기활법은 초기에는 과잉공급 업종만 적용되었으나 2019년 개정을 통해 신산업 진출, 산업위기지역 기업까지 신청할 수 있게 됐다"면서 "최근 디지털전환, 탄소중립 등을 포함하자는 논의가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보고서는 새로운 기술 및 기업환경 변화를 반영하기 위해 법에 그 대상을 추가로 명시하는 일을 매번 반복한다면 입법 취지인 기업의 자발적이고 신속한 사업재편을 달성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나아가 사업재편계획 심의위원회의 승인과정이 있기 때문에 법에 대상을 제한하지 않아야 한다고 보고서는 덧붙였다. 

인천대 김윤경 교수는 "기업구조조정의 속도를 높이고 사회적 비용을 최소화하도록 구조조정 제도를 설계해야 하며 기존 법제를 정비할 필요가 있다"며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기업의 적극적 노력도 함께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초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