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 매각 방식, 전정부 때와 현정부 때의 결정 크게 달라
대우조선 매각방식 급변 왜?, 헐값 논란은?, 한화의 리스크는?
마침 국감 눈앞...산은 전·현직 회장의 설명 들으면 궁금증 해소될 수도

강석훈 산업은행 회장. /사진=뉴시스
강석훈 산업은행 회장. /사진=뉴시스

[초이스경제 최원석 경제칼럼] 한화그룹이 약 2조원을 들여 대우조선해양(이하 대우조선) 인수에 나선다고 한다. 깜짝 놀랄 만한 일이다. 그도 그럴 것이 한화는 지난 2008년에도 대우조선 인수전에 뛰어들었다가 실패한 경험이 있다.

하지만 한화의 재도전에 긍정과 부정의 목소리는 함께 쏟아진다. 증권계 일각에선 한화가 대우조선을 인수할 경우 방위산업 시너지 효과를 누릴 수 있을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조선산업은 때로는 부침이 매우 심해 큰 변동성을 감내할 만한 능력도 있어야 한다. 그래야 흔히 말하는 '승자의 저주'에 대한 우려를 제거할 수 있다. 한화그룹이 그것까지 얼마나 심도있게 고려했는지가 궁금하다.

마침 한화그룹의 대우조선 인수뉴스가 부각된 지난 26일 중국 계면신문은 "중국도 LNG선 생산 조선소가 2개에서 3개로 늘었고 이 분야 한국 추월 여부가 주목받고 있다"면서 "한국에 LNG선 주문이 밀리고 있지만 한국은 자금난, 인력난 때문에 생산확충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뉴스까지 쏟아냈다. 조선산업은 중국변수도 무시할 수 없다는 점을 다시 한 번 확인시킨 대목이다. 아울러 한국의 조선산업은 아직도 순탄한 국면 속에 있는 것 만은 아니라는 점을 중국 언론은 파고들고 있다.

게다가 대우조선에 들어간 공적자금은 4조원인데 2조원에 팔기로 한 것도 논란거리다. 산업은행은 "빨리 파는 것이 유리하다"는 입장이긴 하다. 그럼에도 향후 헐값 매각 논란에서 얼마나 자유로울지는 아직 알 수 없다. 한화가 2008년 대우조선해양 인수를 추진했을 당시 몸값은 6조3000억원 가량이었는데 3분의 1토막 났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뿐만 아니라 지난 정부에선 대우조선을 현대중공업그룹에 매각해 국내 조선산업을 '빅2' 체제로 끌고가기로 했다가 그것이 없던 일이 돼버리고 현정부들어 다시 한화그룹에 매각하는 수순을 밟게 된 것도 궁금증을 키우는 대목이다. 

10월 국회 국정감사 일정이 다가온다. 이럴 때 국회가 대우조선 매각 주체인 산업은행의 전·현직 회장을 국정감사에 동시 출석시켜 그 분들의 생각을 들어보는 것은 어떨 것인가도 생각해 본다. 산업은행 국감도 예정돼 있으니 불가능한 일만은 아니라고 본다. 실제로 국회 10월 국정감사를 앞두고 재계와 금융권에서는 어떤 거물급 인사들이 증인 또는 참고인으로 채택될 것인지가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27일 금융권과 재계, 정치권에 따르면 26일 기준 정무위 증인-참고인 명단(안)엔 이동걸 전 산업은행장(산업은행 회장)의 이름도 오르내린 것으로 전해졌다. 27일 기준 바뀐 명단에선 사라졌지만 말이다. 대우조선 매각 이슈 등과 관련해 국민들의 궁금증도 많은 만큼 이동걸 전 회장과 강석훈 현 산업은행 회장이 국정감사 장에서 대우조선 매각 이슈 등에 대해 국민적인 궁금증을 소상히 풀어주는 기회가 마련되는 것도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해 본다.

저작권자 © 초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