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시가총액으로 본 산업별 미래 국제경쟁력 분석
주력 산업인 반도체·소재·자본재, 美·中·日과 경합 전망
25개 산업 중 상위 5개 산업군에 시가총액 63.1% 편중
금융·헬스케어 등 서비스 산업, 주요국 대비 경쟁력 약해
안정적 산업 포트폴리오로 경쟁력 높이려면 규제 타파해야

제약 연구원. 기사 내용과 무관함. /사진=뉴시스
제약 연구원. 기사 내용과 무관함. /사진=뉴시스

[초이스경제 최원석 기자]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는 13일 "주요국 산업별 시가총액 비중을 분석한 결과, 반도체 등 국내 미래 주력 산업이 주요국과 치열하게 경합할 것으로 전망됐다"면서 "우리의 경쟁력을 강화하려면 과감한 R&D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전경련은 또한 "한국의 금융 및 헬스케어 산업은 국제 경쟁력 열세가 우려된다"면서 "과감한 규제 혁신을 통해 이들 분야 경쟁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전경련은 이날 한국, G5, 중국의 업종별 시가총액 비중과 산업별 경합 수준 분석 결과를 발표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전경련에 따르면 2022년 국내 상장기업 시가총액 산업군별 비중은 25개 산업 중 '기술 하드웨어 및 장비(23.7%)'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자본재(15.2%) ▲소재(9.8%) ▲제약, 생명공학, 생명과학(8.4%)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6.0%) 순으로 비중이 컸다.

자료=전국경제인연합회
자료=전국경제인연합회

과거 10년 간의 산업별 시가총액 비중 추이를 살펴보면 2022년 ▲제약, 생명공학, 생명과학(6.2%p 상승)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3.3%p 상승) 산업군의 비중은 2012년 대비 증가한 반면 ▲자동차 및 부품(6.0%p 하락) ▲보험(2.3%p 하락) 등의 비중은 10년 전 대비 감소했다. 

시가총액 비중이 증가한 산업별 대표 기업을 살펴보면 ▲제약, 생명공학, 생명과학 산업군의 셀트리온은 4.4배(5.2조에서 23.0조원으로)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산업군의 네이버는 2.7배(10.0조에서 26.6조원으로) ▲반도체 및 반도체 장비 산업군의 SK하이닉스는 2.9배(17.8조에서 51.6조원으로) 씩 2012년 대비 시가총액이 증가했다.

2022년 주요국의 상장기업 시가총액 비중을 비교한 결과 대부분 '자본재', '소재' 등의 비중이 컸다. 주요 국가별 시가총액 기준 상위 3대 산업군을 보면 한국은 ▲기술 하드웨어 및 장비(23.7%) ▲자본재(15.2%) ▲소재(9.8%), 미국은 ▲소프트웨어(9.6%) ▲제약, 생명공학, 생명과학(8.9%) ▲금융 서비스(8.6%), 중국은 ▲자본재(12.3%) ▲소재(10.0%) ▲은행(9.2%), 일본은 ▲자본재(14.7%) ▲자동차 및 부품(8.0%) ▲기술 하드웨어 및 장비(6.0%) 순이었다.

최근 10년간 산업군별 추이는 주요국 간 비슷한 흐름이 나타났다. 2012년 대비 '헬스케어 장비 및 서비스'와 '반도체 및 반도체 장비' 비중은 주요 국가에서 증가한 반면 '유틸리티', '은행', '에너지' 비중은 대부분 감소했다.

2022년 시가총액 데이터로 '현시비교우위지수(RCA)를 산출하여 국가 간 산업 경합성을 분석한 결과, 한국은 '기술 하드웨어 및 장비', '소재', '자본재', '반도체 및 반도체 장비' 등의 산업군에서 비교우위가 있을 것으로 분석됐다.

2022년 주요국의 '현시비교우위지수'를 비교한 결과 한국은 미국, 중국, 일본과 각각 4개 산업군에서 비교우위가 겹칠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미국과는 하드웨어와 반도체, 중국·일본과는 소재와 자본재 등에서 비교우위가 겹쳐 장래 경쟁이 심화할 것으로 전망됐다.

반면 장래 주요국 간 경쟁이 격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보험', '운송', '부동산 관리 및 개발' 등의 산업군에서 한국은 비교우위를 갖지 못할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부가가치가 큰 금융업(은행·보험)에서 향후 국제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되는 데 반해 한국의 금융업은 경쟁력이 낮을 것으로 평가됐다.

한국의 산업 구조는 하드웨어와 반도체에 편중된 가운데, 이를 포함한 주력 산업에서 주요국과의 경합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부가가치가 큰 금융, 헬스케어 등에서 한국은 경쟁력이 뒤떨어지는 것으로 평가되어 경쟁력 제고가 시급한 상황이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산업본부장은 "균형 있는 산업 포트폴리오 구성을 통해 한국의 산업 경쟁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면서 "이를 위해 반도체 등 경쟁력 우위 산업에 대한 과감한 R&D 세액공제 지원과 더불어 금융 등 경쟁력 열위 산업의 발전을 가로막는 규제 혁신이 병행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초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