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1조 가계대출 부실화땐 제2 IMF 우려 제기

 값 비싼 집은 있으나 이를 구입할 당시의 대출 이자부담 및 생계부담을 감당하지 못하는 이른바 ‘하우스 푸어’의 공포가 점점 더 짙어지고 있다. 또 한번의 ‘IMF’가 오는 원인일수도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2.4분기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연체율은 전년동기보다 최대 0.2%포인트 올라간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은행의 연체율은 0.71%에서 0.91%로 치솟았다.
 
같은 기간 하나은행은 0.36%에서 0.48%로,  신한은행은 0.58%에서 0.65%, 외환은행은 0.4%에서 0.54%로 높아졌다. 이는 대출자들의 집값이 떨어져 상환능력이 악화된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한국은행의 지난 5월말 기준 통계에 따르면 국내 예금기관의 가계대출 규모는 456조6627억원으로 이 가운데 68.1%인 311조3088억원이 주택담보대출이다.
 
가계부문의 대출이 부실화하면 이를 돌려받을 길이 막막해진 은행의 부실로 이어지고 국가 전체 금융시스템의 마비와 그에 따른 경제 위기를 초래할지 모른다는 우려가 깊어지고 있다.
 
1998년 외환위기 이후 은행들의 대기업 대출이 일시에 부실화해 위기를 더욱 심화시켰다면 이번에는 개인부문의 대출이 엄청난 화근이 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3일 뉴시스는 4년전 결혼과 함께 받은 주택담보대출이 3개월전부터 연체되기 시작한 주부의 사례를 소개하고 있다. 이 주부의 집은 가격이 30% 하락한 반면 지난해 아이를 낳은 이후 월 100만원의 육아비의 지출이 가중되고 있다.
 
같은 날 조선일보는 2006년 2억5000만원의 대출을 받아 5억1000만원 아파트를 구입한 제2금융권 직원의 사례를 보도하고 있다. 그의 월 수입 500만원 가운데 110만원이 이자 상환비용으로 빠져 나간다. 집값이 오르면 더 큰 아파트로 옮겨갈 기대를 했었지만 지금 살고 있는 집의 가격은 지난해부터 떨어지고 있다.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연체가 오르고 있다는 것은 드디어 개인별로 대출 부담을 견디지 못하고 파국을 맞는 사례가 나타나기 시작했다는 조짐으로 해석되고 있다.
 
저작권자 © 초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