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 브라질 뿐만 아니라 한국 역시 1997년 참패의 쓴 경험

▲ 사진=뉴시스.


[초이스경제 장경순 기자] 중국의 외환보유액 감소에 대한 국제 금융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중국의 지난 1월말 현재 외환보유액은 2조9982억 달러다. 2011년 2월 이후 처음으로 3조 달러 아래로 내려갔다.

감소의 주된 원인은 중국 당국이 위안화 가치를 안정시키기 위해 달러를 쓴데 있다.

이같은 중국 당국의 행보에 대해 블룸버그는 타국 사례를 들어, 성공하기 힘들다고 지적하고 있다. 비교대상은 중국과 함께 브릭스(BRICS)를 구성하고 있는 러시아와 브라질이다.

러시아는 지난 2013년 경제위기를 겪었다. 크림반도 사태로 인해 서방의 경제제재를 받는 가운데 저유가가 겹친 때문이다. 2013년 4월~2015년 3월 기간 러시아의 외환보유액은 5000억 달러를 웃도는 수준에서 3500달러 수준으로 급감했다.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루블화의 미국달러 대비 가치는 50%나 급락했다.

브라질은 2013년 초부터 2015년 말까지의 경제위기에서 헤알화 가치방어를 위해 통화스왑을 통한 외환시장 개입에 나섰다. 그러나 역시 경제펀드멘털이 환율을 결정한다는 진리만 확인했다고 블룸버그는 지적했다.

이들 브릭스 국가 뿐만 아니라 중국의 이웃나라도 비슷한 경험을 했다. 바로 한국이다.

한국은 1996년 반도체 수출 부진한 틈을 타 국제 환투기 세력이 가세하는 것으로 판단해 외환시장에서 지속적으로 시장개입을 통해 달러를 팔았다.

1997년 들어서는 거의 하루도 거르지않을 정도로 당국이 달러를 팔지 않으면 시장이 작동되지 않는 양상까지 나타났다.

외환보유액은 1996년 말 332억 달러였으나 1997년 10월말 305억 달러로 떨어지고 11월말에는 244억 달러로 더욱 감소했다. 그나마 이 가운데는 한국은행이 시중은행들에게 지원한 외화까지 포함돼 허수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끝내 국제통화기금(IMF)에 구제금융을 신청하는 ‘IMF 위기’를 맞고 말았다.

당시 한국의 외환위기를 초래한 또 다른 미국의 금리인상이었다. IT 호황기를 맞아 생산성이 급격히 높아진 미국은 인플레이션을 막기 위해 연방준비제도(Fed) 이사회가 3% 수준의 금리를 6% 이상으로 급격히 높였다.

이렇게 금리가 급등해도 IT 부문을 중심으로 한 미국 기업들은 그 이상의 이윤을 남기는 호황을 누렸다. 이에 따라 한국 등의 신흥시장에서 투자자금이 이탈해 미국으로 몰려 들어갔다.

한국은 수출 부진뿐만 아니라 국제 투자자금의 미국 집중이라는 문제까지 끌어안게 됐는데도 당국은 환투기를 근절한다며 외환보유액을 남용하는 무모한 행태를 보인 것이다.

외환보유액으로 환율 가치를 인위적으로 바꿀 수 없다는 점은 여러 나라에서 확인되고 있다.

다만 중국의 경우는 다른 국가들과 외환보유액의 차원이 다르다는 특성을 갖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중국의 외환보유액은 3조105억 달러다. 2위 일본의 외환보유액이 1조2169억 달러다. 3위 스위스는 6750억 달러로 중국과는 더욱 비교의 의미가 없어진다.

 

 

저작권자 © 초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