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금융센터 "1994년보다 2004년과 유사한 상황 예상"

[초이스경제 윤광원 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지난 15일(미국시각) 3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 인상과 함께 오는 2019년까지 매년 3번씩 금리를 올릴 것이라고 밝히면서, 미 금리인상 본격화가 신흥국 자금 흐름에 미칠 영향이 주목된다.

이와 관련, 국제금융센터는 과거 미 기준금리가 3%포인트 이상 인상됐던 지난 1994년 및 2004년과 현재의 신흥국 여건을 비교 분석해 눈길을 끌고 있다.

25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지난 1994년 미국 금리인상기에는 신흥국들의 대외건전성이 취약한 상황에서의 급격한 미 금리인상으로 금융위기가 초래됐다.

경상수지가 큰 폭의 적자였고 단기외채 비중도 높은 아시아 및 남미 국가들을 중심으로 통화가치가 급락하면서 금융위기가 잇따라 발생했다. 1994~1995년 멕시코 금융위기와 1997년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금융위기가 그것이다.

반면 2004년 인상기에는 신흥국의 펀더멘털이 개선되고 미 금리인상도 완만한 속도로 진행되면서, 신흥국에도 증권자금이 유입되고 자산가격도 견고한 흐름을 보였다.

신흥국들의 경우 경상수지 개선, 단기외채비중 감소 등으로 대외건전성이 제고되고 미 국채금리도 비교적 안정적인 움직임을 보여, 신흥국의 경기확장 국면이 지속되면서 선진국과의 성장률 격차가 오히려 확대된 것.

이에 따라 미 달러화가 반등세를 보이는 가운데서도 신흥국으로의 외국인 자금유입이 늘어나고 주가도 상승세를 보였다.

올해 인상기는 연준의 인상속도, 신흥국 펀더멘털 개선 등의 측면에서 2004년과 유사하다.

신흥국들은 대외건전성 측면에서 경상수지, 단기외채비중 등이 2004년 당시보다 호전됐고 성장세 반등, 선진국 대비 낮은 주가수준 등이 외국인 자금유입을 견인하는 가운데, 유럽중앙은행(ECB)의 통화완화정책 축소 등으로 미 달러화 강세도 제한될 소지가 있다는 설명이다.

다만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재정·통상정책이 미 금리 및 신흥국 성장률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브렉시트)와 유럽 주요국 선거 등으로 위험회피심리가 강화될 가능성도 있다.

강영숙 국제금융센터 연구원은 “2004년 대비 펀더멘털이 약화된 멕시코, 말레이시아, 터키가 취약국으로 거론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초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