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 후엔 인도가 중국 추월...건설 · 자동차 등 제조업 둔화 우려

[초이스경제 이영란 기자] 우리나라에서 ‘인구절벽’ 문제가 갈수록 심각해지는 가운데 중국도 인구절벽 충격에 맞닥뜨렸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중국의 인구절벽은 건설, 자동차 등 제조업 둔화로 이어지면서 우리 경제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제기된다.

포스코경영연구원이 6일 발간한 ‘중국에 다가오는 인구절벽 충격’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인구는 2015년 13억7462만 명으로 여전히 세계 1위이지만 중국 정부가 1980년에 도입했던 1가구 1자녀 정책의 부정적 영향이 가시화되고 있다.

중국 생산가능인구(15~64세) 비중이 2011년을 정점으로 하락세를 보이다가 2015년부터는 생산가능인구 자체가 감소세로 전환됐으며 이러한 추세는 앞으로도 장기간 지속될 전망이다.

UN은 향후 인구 전망에서 2022년 인도가 중국을 추월하며 2029년부터는 중국의 총인구 자체가 감소세로 전환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 정부가 뒤늦게 ‘2자녀 정책’을 전면 시행하고 있지만 가임연령 여성인구 감소, 경제적 부담 등으로 단기에 효과를 발휘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이에 따라 노후대비 부담 증가로 중국 가계소비가 위축되는 한편 구인난과 임금 급등이 제조업 경쟁력 약화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또한 중국의 인구구조 변화는 건설과 자동차 등 중국 제조업 둔화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중국에서는 25~34세 인구가 주택 구매자의 50%를 차지하고 있다. 35~44세의 주택 구매 비중도 25%나 된다.

하지만 25~44세 인구는 일정 수준에서 계속 정체되는 반면, 55세 이상의 인구가 급속히 증가하는 추세다.  향후 주택구매자들이 줄어들 수밖에 없는 셈이다.

자동차도 마찬가지다. 주력구매 계층인 25~45세 인구가 정체되면서 수요 전망도 밝지 않다는 분석이다.

생산가능인구 감소는 철강소비 전망도 어둡게 만들고 있다. 중국 정부는 중국내 철강소비가 2013년 7억6000만톤에서 2020년 6억5000만~7억 톤 내외로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을 제시했다.

동향분석센터 정철호 연구위원은 “중국의 인구구조 변화를 감안핛 때 중국 경제의 중장기 전망을 낙관적으로 보기 어려우며, 중국시장에 대한 보수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중국은 과잉부채에 기반을 둔 과도한 투자의존형 성장을 지속해 왔다. 그 결과 산업 전반에 심각한 공급과잉을 겪고 있어 추가 자본투입도 어려운 상황이다.

중국이 잠재성장률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국유기업 개혁, 제조업 혁신 등을 통한 경제 전반의 생산성 제고가 필요하나 이 또한 쉽지 않은 작업이라는 것이다.

 

 

저작권자 © 초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