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 거론되는 마당에 무슨 감세?"... 원화-엔화환율 동반 하락

[초이스경제 장경순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1월 취임 이후 뭐 하나 신통하게 되는 것이 없다. 취임 100일이 됐을 때, 그 누구보다 많은 법과 행정명령을 통과시켰다고 자화자찬했지만 그게 일일이 어떤 것들인지 제대로 알아보는 사람도 드물었다.

뉴스를 장식한 것은 그가 뭘 하려고 했는데 의회와 법원의 장벽을 넘지 못하고 실패했다는 것들이 대부분이었다. 회교국 7개 국민 입국을 금지했다가 법원으로부터 취소당했다. 오바마케어를 철폐하려다가 의회 반대를 우려해 스스로 철회했다가 최근에 통과됐다.

멕시코 장벽은 200억 달러에 달하는 비용을 조달할 길부터 막막하다.

금융시장이 그나마 그에게 기대를 거는 것은 감세 정책이다. 그런데 감세는 그가 강조하는 또 다른 정책과 모순을 빚고 있다. 약한 달러 정책이다.

감세를 해서 재정적자가 늘어나면 미국 재무부가 국채를 발행해야 되고, 이는 채권의 공급 증가로 인한 채권가격 하락, 즉 미 국채 수익률 상승을 가져온다. 이렇게 금리가 올라가면 달러는 다른 나라 통화에 대해 절상되는 것이 불가피하다. 약한 달러 정책을 써도 효과가 사라지는 것이다.

그런데 어찌됐든, ‘약한 달러’ 정책만큼은 제대로 실현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의 ‘약한 달러’ 공약 실천은 제임스 코미 연방수사국(FBI) 국장을 해임한 것이 큰 도움(?)이 됐다. 코미 국장 해임과 녹음 테이프 논란을 자초해, 정치권에서 탄핵까지 본격적으로 거론되고 있다. 여기다 16일 워싱턴포스트와 로이터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중요한 국가기밀을 러시아 외교부장관에게 누설했다고 미국 정부 관계자가 밝혔다.

탄핵이 거론된다고 실현 가능성이 높은 것은 아니다. 그러나 “물러나라”는 소리를 듣는 대통령이 감세를 하면 얼마나 하겠냐는 회의론이 금융시장에서 커지고 있다. 정책을 제대로 펴려면 의회의 협조를 받아야하는데 제 앞가림부터 급급한 처지가 된 것이다. 감세가 불투명해지는 것은 지난해 11월 트럼프 대통령이 당선된 이후 달러 강세를 가져온 근본 원인이 사라지는 것이다.

‘약한 달러’는 트럼프의 동반자로 분석되고 있는 러시아도 일조했다. 러시아가 사우디아라비아와 석유 감산을 2018년 3월까지 연장하기로 합의하자 국제유가가 상승하고 있다. 국제유가가 상승하면 유가의 표시 통화인 달러가 상대적으로 약세를 보인다.

이와 함께 뉴욕의 제조업지수가 하락하고 소매지표도 부진하자, 연방준비제도(Fed) 이사회의 금리 인상 가능성이 감퇴되고 있다.

CME 그룹의 Fed와처프로그램은 올해 연말의 연방기금금리가 1.25% 이상일 가능성을 16일 오후 4시30분(한국시간) 현재 49.3%로 집계했다. 2시간 전의 46.1%보다는 높아졌지만 50%에 미달하고 있다. 연말 연방기금금리가 1.25% 이상이라는 것은 Fed가 올해 두 차례 이상의 추가 금리 인상을 한다는 의미다.

미국달러 대비 원화환율은 16일 1달러당 1116.0 원에 마감됐다. 전날보다 7.6원(0.68%)의 비교적 큰 폭으로 하락했다.

블룸버그 집계에 따르면, 국제 외환시장에서 엔화환율은 오후 4시47분 현재 113.47 엔으로 전일대비 0.28% 하락했다.

원화환율과 엔화환율의 동반 강세, 다시 말해 원화와 엔화가 동시에 달러에 대해 강세를 보인다는 것은 국제정세의 불안과는 무관한 달러 약세일 때 나타나는 현상이다.

달러는 유로와 파운드에 대해서도 약세를 보이고 있다.

유로가치는 1유로당 1.1028 달러로 0.48% 상승하면서 1.1 달러를 넘었다. 파운드가치는 1.2930 달러로 0.26% 올랐다.

 

 

저작권자 © 초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