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계 "병용통화 우려와 이탈리아 은행 부실 우려 동시에 커진 탓"

▲ 사진=최미림 기자

[초이스경제 윤광원 기자] 최근들어 유로존 국가 중 왜 유독 이탈리아만 국채금리가 오를까?

2일 KB증권 등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유럽중앙은행(ECB)의 테이퍼링(양적완화 축소) 우려가 불거졌을 때, 다른 유로존(유로화 사용지역) 국가들과 달리 이탈리아 국채금리만 10일 만에 약 0.44%포인트 급등했다. 국채 금리가 올랐다는 건 국채 가격이 떨어졌다는 의미다.

북한의 대륙간탄도탄(ICBM) 발사로 안전자산 선호경향이 나타났을 때도 그랬다.

ECB의 테이퍼링이 시작되면 조달금리 상승에 따라 이탈리아 정부의 부채부담 확대 가능성이 우려되면서, 국채금리가 상승했다.

실비오 베를루스코니 전 총리의 ‘병용통화’ 도입 필요성 언급도 시장의 불안을 가중시켰다.

병용통화란 자국 통화를 부활시켜 유로화와 같이 사용하는 것으로, 이 제도 도입시 유로화 독점체제를 불안하게 하고 이탈리아 내 이탈렉시트(이탈리아의 유로존 탈퇴) 이슈를 재 점화할 수 있다는 걱정 때문이다.

근본적인 문제는 은행권 부실과 정부의 신뢰부족 탓이 크다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유럽연합(EU)은 남유럽 재정위기 이후 유럽은행동맹을 출범시키고 투자자 손실부담을 원칙으로 하며, 부실은행에 대한 직접적인 공적자금 투입을 금지했다.

그러나 이탈리아는 이 원칙을 지키지 못하고 우회적인 정부의 구제금융이 계속되고 있다.

손은정 KB증권 연구원은 “이탈리아 은행권의 부실채권 비율이 14.8%로 높은 만큼, 현재와 같은 정부 개입 처리방식이 지속되면 이탈리아 정부는 물론 우량은행까지 부실은행 구제에 대한 부담이 커진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초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