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도 처음엔 '남의 일' 같았다"

▲ 박해식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사진=뉴시스.


[초이스경제 장경순 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이사회가 이른바 ‘레버리지 대출’에 대해 경고한지 닷새 만에 금융연구원이 이와 같은 경고를 내놓았다. 한국과 미국의 중앙은행 및 국책연구기관이 향후 국제금융을 위협할 요인으로 레버리지 대출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있다. 두 기관은 아직 위험이 임박한 것은 아니지만 예방적 차원의 점검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박해식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12일자 금융브리프 ‘금주의 논단’에서 이같이 지적했다. 앞서 Fed는 지난 7일 반기 금융안정보고서에서 레버리지 대출의 형태로 이미 많은 대출을 받고 있는 기업에 새로운 대출을 해주는 추세가 금융시스템의 잠재적 위협이라고 밝혔다.

레버리지 대출은 기업을 인수한 사모펀드 등에 피인수기업의 자산을 담보로 대출해주는 것을 의미한다.

박해식 선임연구위원은 “레버리지 대출의 정확한 정의가 없기 때문에 대출잔액을 정확히 알기는 어렵다”며 “현 시점에서 전 세계 레버리지 대출잔액은 1조3000억 달러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그는 “글로벌 금융위기 때 문제가 됐던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대출 규모가 1조1000억 달러였던 것을 감안하면 엄청난 규모”라고 강조했다. 일부 기관에서는 레버리지 대출규모를 2조2000억 달러로 추정하기도 한다.

박 선임연구위원은 “공교롭게도 글로벌 금융위기 때와 마찬가지로 레버리지 대출도 잔액의 85%가 미국에 집중돼 있다”고 밝혔다.

10년 전 모기지대출기준 완화로 부실위험이 높은 서브프라임 모기지 대출이 급증한 것과 비슷한 현상이 레버리지 대출 시장에서 나타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고 박 선임연구위원은 소개했다.

그는 “레버리지 대출에 잠재한 위험의 본질은 차입기업의 재무상태 및 재무구조 악화와 관련이 있다”고 지적했다. 

레버리지 대출의 증가는 저금리 추세가 장기화되면서 금리가 더 높은 레버리지 대출에 투자하는 경향이 늘어나는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박해식 선임연구위원은 국내 레버리지 대출 규모를 10억~15억 달러로 2조 달러가 넘는 전 세계 규모에 비하면 극히 미미하다며 그러나 레버리지 대출 시장이 보내는 위험신호를 무시해서는 안된다고 밝혔다. 그는 “10년 전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대출 사태는 한국과 무관한 것처럼 보였지만, 위기상황이 확산되자 국내경제는 자본이 대거 해외로 유출되고 성장률이 곤두박질치는 엄청난 피해를 입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초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