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분기 성장률이 전기대비 0.3%에 그치는 저성장 기조에는 정보-기술(IT) 분야의 극심한 부진도 한 몫 하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는 한국은행이 지난 6일 발표한 국민소득 통계에서도 그대로 드러나고 있다.

 
한국은행은 국민계정 편제 때마다 정보통신산업의 성장기여도를 별도 집계하고 있다. 이 통계는 사무, 계산 및 회계용 기계, 반도체 및 통신기기 등의 정보통신기기 제조업과 통신업, 방송, 소프트웨어와 컴퓨터 관련 서비스 등 정보통신 서비스업이 대상이다.
 
정보통신산업의 지난 2.4분기 성장기여도는 0.0%포인트였다. 성장률을 높이는데 단 한치도 기여를 하지 못했다는 의미다. 오히려 깎아먹지 않은 것을 위안으로 삼아야 할 판이다.
 
전분기인 1.4분기에는 정보통신의 성장기여도가 0.2%포인트로 언뜻 보면 2.4분기보다는 나아 보인다. 하지만 이는 해당 분기의 성장률이 2.4분기와 달리 0.9%에 이를 때여서 정보통신이 그다지 양호했다고 볼 수 없는 결과다. 정보통신의 기여도가 없었더라도 분기 전체 성장률이 0.7%였다는 뜻이다.
 
IT부문이 성장을 이끌 때에는 전체 성장률의 절반에 가까운 기여도를 보였었다. 2007년의 경우 2.4분기 성장률 1.7% 가운데 정보통신 기여도가 0.7%포인트에 달했다. 1.0%인 성장률을 정보통신이 1.7%로 끌어올렸다는 의미다. 같은 해 3.4분기도 1.5%의 성장률 가운데 0.9% 포인트를 담당해냈다.
 
그러나 지금은 최소한 통계상에서 있으나마나한 영역이 돼 버렸다. 이러다보니 IT 부문의 GDP 비중도 크게 축소됐다. 2007년 말만 해도 IT의 GDP 비중은 17.5%였으나 2010년말에는 8.6%, 지난 2.4분기 8.1%로 크게 낮아졌다.
 
관련 업계에서는 정부 출범 초기 부총리급 기관이었던 과학기술부와 정보통신부를 모두 없애면서 IT분야를 대놓고 소홀히 취급한 당연한 결과라고 꼬집고 있다.
 
저작권자 © 초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