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사태를 계기로 미국 등 서방과 경제전쟁을 벌이고 있는 러시아가 극약처방을 계속 내놓고 있다. 

중앙은행은 외국자금 이탈을 막기 위해 기준금리를 전격 올리는가 하면 러시아 자원장관은 “만약 러시아에 대한 서방의 경제제재를 이유로 기존의 투자계약을 파기하고 떠나는 기업이 있다면 다시는 러시아로 돌아오지 못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하며 자국 경제 지키기에 혈안이 되어 있다.
 
특히 이같은 러시아 당국의 조치는 최근 미국등 서방의 러시아에 대한 경제제재가 지속되는 가운데 국제 신용평가기관인 스탠다드 앤 푸어스(S&P)가 러시아에 대한 신용등급을 낮춘 직후 전격적으로 이뤄진 것이어서 주목된다.
 
25일(현지시각) 글로벌시장에 따르면 이날 러시아가 긴급히 움직였다. 우선 러시아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7.5%로 50bp나 전격 인상했다. 최근 두 달 사이에 벌써 두 번째 인상이다.
 
이는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해 외국자금이 러시아에서 급속히 빠져 나가고 이로 인해 루블화가치가 급락하면서 수입물가가 급등하고 있는데 따른 조치다. 다시말해 이번 금리인상 조치는 추가자금 이탈을 막기 위한 극약처방으로 풀이된다. 그도 그럴 것이 올들어 지난 1분기 동안에만 러시아에서는 무려 640억 달러가 빠져 나갔다. 우크라이나 크림반도 사태 후폭풍 여파다.
 
하지만 러시아 당국의 조치는 중앙은행에서만 이뤄진 게 아니다. 러시아 자원장관도 자국에 투자한 기업들의 이탈을 막기 위해 안간힘을 쏟았다. “만일 러시아에서 기존의 투자계약을 파기하고 떠나는 기업이 있다면 다시는 러시아로 돌아오지 못하게 할 것”이라고 엄포를 놓았다. 
 
이같은 러시아 중앙은행과 자원부의 행동은 S&P가 러시아의 국가신용등급을 기존 'BBB'에서 'BBB-'로 강등한 직후 나온 조치라는 점도 주목된다.
 
특히 러시아당국은 이같은 S&P조치와 관련해 “정치적 냄새가 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러시아 당국은 신용등급 하락에 따른 외국인 자금 추가이탈을 막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는 것이다. 러시아 푸틴이 크림반도를 취한 대신 혹독한 경제적 보복을 당하고 있는 셈이다.
 
저작권자 © 초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