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갈등 · 고용지표 악화에 7월 금리인상 동결 가닥
전문가들 4분기 1차례 인상 전망...신중론도

▲ 한국은행이 12일 이주열 총재 주재로 금융통화위원회를 갖고 7월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사진=뉴시스

[초이스경제 임민희 기자] 12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의 7월 기준금리 결정을 앞두고 통화정책 방향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대다수 금융전문가들은 최근 미중 무역갈등 고조와 국내 고용지표 부진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커짐에 따라 동결에 무게를 두는 모습이다. 금리인상 시점도 하반기 1차례 인상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으나 향후 가시적인 경기지표 개선이 나타나지 않을 경우 한은이 동결기조를 유지할 거란 전망도 나온다.

박성욱 금융연구원 거시경제연구실장은 "최근 경기지표가 좋지 않아 한은이 7월에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보인다"며 "다만 지난해 11월 인상 이후 금리인상 기조를 유지하고 있어 이런 분위기라면 하반기 1차례 정도 올릴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1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8년 6월 고용동향' 자료에 따르면 6월 신규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대비 10만6000명 증가에 그쳐 5개월 연속 부진세가 이어졌다. 농업 및 공공부문을 제외하면 민간 일자리는 3개월 연속 감소세다. 제조업은 13만개, 교육서비스와 도소매업은 각각 10만개, 3만개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미국의 수입자동차에 대한 25% 관세부과가 현실화될 경우 자동차 수출 제한으로 고용여건이 더 악화될 거란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대내외 변수에 채권시장도 7월 기준금리 동결가능성을 높게 점쳤다. 금융투자협회가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2일까지 74개 채권기관(100명)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89%가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동결(1.50%)을 예상했다.

증권사들도 기준금리 인상전망을 수정하며 보수적 관점으로 돌아섰다. 전병하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올해 연초 이후 7월 1회 기준금리 인상 전망을 유지해 왔으나 4분기 중 1차례 금리인상으로 변경한다"며 "5월 금통위 이후 발표된 경제지표들이 크게 부진하진 않았지만 당장의 기준금리 인상에는 우호적이지 않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전 연구원은 대내외 불확실성을 고려해 금통위의 만장일치 동결을 전망했다. 금리동결의 핵심요인으로는 지난달 수출증가율 부진을 꼽았다. 그는 "미국의 추가 금리인상 기조와 미중 무역갈등 영향, 이에 따른 지표변화가 한은의 금리인상 시점을 결정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미선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금통위가 고용부진과 미국 관세부과에 따른 수출둔화 우려 등을 고려해 만장일치로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 연구원은 "한은 총재의 무게중심이 실물경기 쪽으로 이동한 만큼 고용 및 내수가 개선되지 않는다면 금리인상 결정은 어려울 것"이라며 "만약 통화정책여력 확보를 위해 7~8월 기준금리를 인상한다면 소비심리 위축, 대출연체율 증가, 부동산가격 하락으로 연결될 위험이 있다"고 밝혔다.

한은의 기준금리 동결전망이 우세하면서 일각에서는 한미간 금리격차가 더 벌어지는게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 연준)는 지난달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했다. 지난 3월 인상 이후 석달만으로 우리나라와의 금리역전 폭은 0.50%포인트로 벌어졌다. 연준은 미국의 경제성장세에 힘입어 올 하반기 2차례 금리인상, 내년엔 3차례 인상을 예고한 상태다.

한은 역시 금리인상 시점을 두고 고심하는 모습이다. 한미간 금리역전 격차가 확대될 경우 자본유출 심화로 금융시장이 출렁일 수 있고, 그렇다고 금리를 올리게 되면 1500조원에 육박하는 가계부채 문제가 경제뇌관으로 부상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박성욱 실장은 한미금리 역전문제와 관련해 "금리격차가 확대되면 이전에 비해 우리나라로 유입되는 자금이 줄어들겠지만 자금유출입은 금리만 가지고 움직이는 게 아니라 환율에 대한 기대, 전반적인 위험신호 정도 등 여려 요인을 같이 봐야 한다"고 신중한 입장을 견지했다.

 

 

저작권자 © 초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